번호 | 정 답 | 1 | 3 | 2 | 5 | 3 | 5 | 4 | 4 | 5 | 1 | 6 | 1 | 7 | 3 | 8 | 2 | 9 | 2 | 10 | 2 | 11 | 4 | 12 | 5 | 13 | 3 | 14 | 4 | 15 | 1 | 16 | 5 | 17 | 4 | 18 | 1 | 19 | 3 | 20 | 2 | 서1 | 현미경 A는 광학 현미경(LM), B는 주사 전자 현미경(SEM), C는 투과 전자 현미경(TEM)이다. 해상력의 크기는 C > B > A 순이고, B인 SEM은 시료 표면의 3차원 입체 영상을 얻어 세포의 표면이나 입체 구조 관찰에 적합하며, C인 TEM은 시료 단면의 2차원 영상을 얻어 세포의 단면 구조 관찰에 적합하다. | 서2 | (가)는 식물 세포를 고장액인 ㉠에 넣었을 때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 것이고, (나)는 이것을 저장액인 ㉡에 넣었을 때 나타나는 팽압(B)과 흡수력(A)의 관계이다. 설탕 용액의 농도는 ㉠이 ㉡보다 높고, V1일 때 흡수력과 팽압이 같으므로 삼투압이 팽압보다 (2배) 크다. 또 V2일 때 이 식물 세포는 흡수력이 0인 최대 팽윤 상태이다. | 서3 | 저해제 A는 기질과 경쟁 관계에 있는 경쟁적 저해제이고, 저해제 B는 비경쟁적 저해제이다. 비경쟁적 저해제는 기질 농도가 높아져도 저해 효과가 감소하지 않으므로 반응 속도 그래프는 Ⅲ이다. 또, 기질 농도가 S1일 때 기질과 결합하지 않은 효소의 수 | 기질과 결합한 효소의 수 | 의 값은 Ⅰ에서 50/50=1이고, Ⅲ에서 75/25=3으로 Ⅲ이 더 크다. | 서4 | A에서 KOH 용액은 호흡으로 발생한 CO2를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이 씨앗의 호흡률은 이므로 =4/5=0.8이다. 따라서 씨앗에서 주로 사용된 호흡 기질은 단백질이다. A에서 KOH 용액은 호흡으로 발생한 CO2를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이 씨앗의 호흡률은 이므로 =4/5=0.8이다. 따라서 씨앗에서 주로 사용된 호흡 기질은 단백질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