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술 형 1 | 식물의 검색표 | A는 선태식물인 솔이끼, B는 양치식물인 고사리, C는 겉씨식물인 은행나무이고, D는 속씨식물 중 외떡잎식물인 옥수수, E는 속씨식물 중 쌍떡잎식물인 해바라기이다. |
서 술 형 3 | 하디-바인베르크 법칙 | 1세대에서 WW인 개체수가 400이므로 유전자 W의 빈도 q=0.2이고, R의 빈도 p=0.8이다. 따라서 유전자형이 RR인 개체수는 6,400이며, 유전자형이 RW인 개체수는 3,200이다. 2세대의 대립 유전자 빈도는 1세대와 같으므로, 유전자형이 RR인 개체수가 19,200에서 전체 개체수를 구하면 2세대 전체 개체수는 30,000이다. 유전자형이 RW인 개체수는 30,000x0.32=9,600이고, 유전자형이 WW인 개체수는 30,000X0.04=1,200이다. 따라서 ㉠+㉡=6,400+3,200=9,600이고, ㉢+㉣=9,600+1,200=10,800으로 ㉠과 ㉡의 합인 A보다 ㉢과 ㉣의 합인 B가 더 크다. 2세대에서 유전자형이 RW인 개체가 임의의 붉은색 꽃 개체와 교배하여 흰색 꽃이 나오기 위해서는 임의의 붉은색 꽃 개체의 유전자형이 RW이어야 한다. RW x RW → RR, 2RW, WW로 임의의 붉은색 꽃 개체가 RR과 RW 중 RW일 확률은 = 1/3이고, RW와 RW를 교배했을 때 유전자형이 WW인 개체(흰 색 꽃)가 나올 확률은 1/4이다. 따라서 1/3X1/4=1/12(0.0833 또는 8.33%)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