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학년도 1학기 "사랑의 헌혈" 안내 |
||||||||||||||||||||||||||||||
---|---|---|---|---|---|---|---|---|---|---|---|---|---|---|---|---|---|---|---|---|---|---|---|---|---|---|---|---|---|---|
작성자 | 전혜선 | 등록일 | 21.06.21 | 조회수 | 520 | |||||||||||||||||||||||||
학부모님 안녕하십니까? 2021년 7월 8일 청석고등학교에서는 봉사 정신의 함양과 실천을 위해 학생과 교직원이 함께하는 적십자 『사랑의 헌혈』행사를 실시합니다. 우리나라의 헌혈인구는 매년 감소하여 국내 혈액 수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부족한 실정입니다. 간혹, 청소년의 헌혈에 대해 우려하는 경우도 있지만 적당량의 헌혈은 오히려 조혈기능을 촉진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한다고 합니다. 또한 헌혈 후에는 헌혈 검사 결과서를 받아 보아 자녀의 건강을 점검해 볼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 구성원으로서 헌혈을 통하여 사랑과 봉사활동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헌혈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인식하시어 귀 댁의 자녀가 사랑의 헌혈 행사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헌혈에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이 동의서를 제출하면, 사전에 엄격한 문진과 기본검사를 실시하여 적격자에 한하여 헌혈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헌혈 예정일 : 2021. 7. 8.(목) 1. 헌혈자 기준 가. 연령 : 만16세 이상 70세 미만인 자 나. 체중 : 남자 50㎏, 여자 45㎏ 이상인 자 다. 외과수술 후 6개월 및 수혈 후 1년이 경과한 자 라. 당일 치료 목적의 약물을 복용하였거나, 병원 진료를 받지 않은 자 마. 발열, 간염, 매독, 당뇨, 경련, 심신질환이 없는 자 바. 헌혈 전 식사를 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한 자 사. 외국여행을 다녀온 후 1개월이 경과한 자 2. 헌혈 절차
3. 건강진단으로서의 헌혈 헌혈자의 건강진단을 위해 혈액형(ABO, Rh, 비예기항체, 아형) 검사, B형간염, C형간염, 매독, HIV(검사결과 통보 안함), HTLV, 간기능(ALT) 검사, 총단백(TPR)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또한 검사결과는 15일이내에 학교를 통해 본인에게 개별통보 합니다. 4. 헌혈 후 유의사항 가. 헌혈 중이나 헌혈 후 규칙적으로 호흡하면서 다리를 발목근처에서 꼬고 다리근육에 힘을 주는 운동을 합니다. 헌혈 후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을 예방해 줍니다. 나. 헌혈부위는 지혈을 위해 10분 이상 엄지로 꾹 눌러주세요. 헌혈부위를 문지르면 멍이 듭니다. 다. 헌혈부위에 이물질이 접촉하지 않도록 반창고는 최소 4시간 이상 붙여주세요. 라. 헌혈 직후에는 헌혈장소에서 편안한 자세로 15분 이상 휴식을 취해주세요. 마. 헌혈 후 탁자 근처에 앉을 경우 양발이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탁자에 팔꿈치를 대고, 앞쪽으로 기대어 앉아 주세요. 이 자세는 현기증을 느끼거나 실신할 경우 바닥에 쓰러질 가능성을 줄여 줍니다. 바. 헌혈 후에는 평소보다 3∼4컵의 물을 더 섭취해 주세요. 헌혈한 혈액량을 보충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 니다. 사. 헌혈당일 음주나 헌혈 후 1시간 이내의 흡연은 피해 주세요. 1시간 이내의 흡연은 현기증이나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 헌혈당일 등산, 과격한 운동, 놀이기구 탑승 등을 피해 주세요. 헌혈한 팔로 무거운 것을 들거나 심한 운동을 할 경우 멍이 들거나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 헌혈당일 가벼운 샤워는 가능하지만 사우나, 찜질방, 통목욕은 수분 손실이 많으니 피해주세요. 차. 헌혈부위에서 출혈이 되면 팔을 가슴보다 높게 들어 올린 상태에서 지혈이 될 때까지 출혈부위를 엄지 로 꾹 눌러주세요. 카. 헌혈장소를 떠난 후에 매스껍거나 어지러우면 즉시 바닥에 주저앉아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무릎사이에 머리를 넣거나, 가능한 머리를 낮추고 다리를 들어올려 주세요. 5. 헌혈 후 생길 수 있는 증상 가. 혈관미주신경반응 긴장, 스트레스로 인해 내장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이 자극되어 오심, 구토, 현기증 등이 나타날 수 있 습니다. 헌혈 전 30분 이내에 500ml 정도의 물 섭취, 헌혈 중 다리를 발목 근처에서 꼬고 다리 근육에 힘을 주는 운동, 충분한 휴식 등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혈관미주신경반응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주 저앉거나 머리를 다리보다 낮춘 자세로 10분 이상 휴식을 취하면 대부분 회복됩니다.) 나. 피하출혈 및 혈종 헌혈하는 과정에서 혈액이 피부 사이에 스며들어 생길 수 있으나 충분히 지혈하면 예방할 수 있습니 다.(통증, 불편감, 출혈반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으나 1∼3주 경과 후 대부분 회복됩니다.) 다. 국소 피부반응 소독약이나 일회용 반창고에 의해 채혈부위에 가려움증 등이 생실 수 있습니다. 라. 신경손상 매우 드물지만 헌혈 시 혈관주위의 신경이 손상을 받아 감각이상, 통증, 근력감소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마. 혈전정맥염 혈전과 관련되어 정맥 내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열감, 압통, 국소 통증, 발적, 부기 등의 증상이 나타 날 수 있습니다. 예방을 위하여 헌혈 후 정맥천자부위의 일회용 반창고를 최소한 4시간 이상 부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바. 팔통증 헌혈 중 또는 헌혈 후 수 시간 이내에 헌혈한 팔에 발생하는 심한 국소적인 방사통으로, 통증 외의 다 른 특이증상은 없는 것을 말합니다. 6. 헌혈 자원봉사 인정 헌혈을 실시하면 1회당 4시간을 자원봉사시간으로 인정합니다.
|
이전글 | 2021학년도 교내축전 미술작품전 실시 |
---|---|
다음글 | 청석고등학교 2021학년도 과학(물리,지구과학,생명과학,화학) 시간강사 채용 공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