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란?
주로 중국 북부나 몽골의 건조․황토지대에서 바람에 날려 올라간 미세한 모레 먼지가 대기 중에 퍼져서 하늘을 덮었다가 서서히 내려오는 현상 또는 흙먼지를 말합니다. 3~5월에 많이 발생하며 때로는 상공의 강한 서풍을 타고 한국을 거쳐 일본․태평양․북아메리카까지 날아갑니다. |
▣ 황사 이렇게 대비합시다
텔레비전, 인터넷, 라디오를 통해 기상 정보를 확인합시다.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읍시다.
황사는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하므로 노약자, 어린이는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갑시다.
어쩔 수 없이 외출할 때에는 긴소매 옷을 입고 마스크, 보호용 안경 등을 착용합시다.
귀가하면 손발을 깨끗이 씻읍시다.
채소나 과일은 더욱 깨끗이 씻읍시다.
가습기 등으로 집안의 습도를 일정하게 조절합시다 |
▣ 가정에서의 단계별 대처방법
황 사
발생 전 |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실외활동을 자제합시다.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점검합시다.
- 실내 공기정화기, 가습기 등을 준비합시다.
- 외출 시에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등을 준비합시다.
- 포장되지 않은 식품은 오염되지 않도록 위생용기 등에 넣읍시다. |
황 사
발생 중 |
► 황사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을 닫고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실외활동을 삼가 합시다.
► 가능한 한 외출을 삼가시고 외출 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시며 귀가 후에는 손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합시다.
► 물을 자주 마시고 공기정화기와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합시다.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생선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 후 요리합시다.
►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품가공·조리 시 손을 철저히 씻읍시다. |
황 사
종료 후 |
►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시고
► 황사에 노출되어 오염된 물품은 충분히 세척 후 사용합시다. |
▣ 황사 발생상황 확인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