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농업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발명교실 게시판입니다.
미생물이 소를 키우듯, ‘공생’은 지구 생명체의 과거이자 미래
작성자 주재석 등록일 24.08.03 조회수 10
첨부파일

반추

 

돌이킬 반()’에 풀이 감싼 꾸러미 모양을 본뜬 꼴 추()’가 붙어 반추가 된다. 글자 그대로 반추는 한번 삼킨 풀(먹이)을 다시 게워내어 씹음, 곧 되새김을 뜻한다. 그리고 어떤 일을 되풀이하여 음미하거나 생각한다는 의미도 있다.

 

거리를 다니다 보면 양곱창구이식당이 곧잘 눈에 띈다. 양곱창이란, 소의 위를 고기로 이르는 과 소의 작은창자(소장)곱창을 붙인 말이다. 소 같은 반추동물은 보통 위가 4개이다. 순서대로 혹위’, ‘벌집위’, ‘겹주름위’, ‘주름위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혹위와 벌집위가 바로 양구이 재료이고, 보통 날로 먹는 처녑이 겹주름위이다. 네 번째 주름위는 주로 막창구이로 메뉴판에 올라 있다.

 

혹위는 먹은 풀을 우선 모아두는 공간답게 크기가 아주 크다. 황소의 혹위는 200에 달한다. 소는 혹위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게워내서 수십 번 씹은 후 다시 삼킨다. 이렇게 되새김질한 풀은 벌집위로 들어가 뭉쳐진다. 소는 이것을 또다시 되새김질하여 겹주름위를 거쳐 주름위로 보내 소화한다. 엄밀히 말하면 마지막 위인 주름위가 진짜이고, 앞의 3개는 식도의 변형이라고 볼 수 있다.

 

소는 온종일 40~50분 간격으로 되새김질을 반복한다. 혹위 속에서는 많은 미생물, 특히 세균들이 섬유소를 분해한다. 소는 세균이 섬유소를 먹고 내놓은 배설물, 곧 발효 산물을 흡수하여 영양분으로 사용한다. 반추위에는 원생동물이라는 또 다른 부류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원생동물은 가장 원시적인 단세포동물을 총칭한다. 아메바와 짚신벌레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반추위 속 원생동물은 주로 세균을 잡아먹고 산다. 이 덕분에 반추위에 사는 세균 수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나아가 이들 원생동물은 주름위에서 소화되어 소에게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 된다. 그래서 소가 풀만 먹고도 엄청나게 근육()을 찌울 수 있는 것이다. 달리 말해, 미생물이 아니라면 소는 굶어 죽고 만다.

 

동물과 미생물이 서로 도움을 주며 살아가는 관계가 반추동물처럼 큰 동물에만 국한된 건 아니다. 이와 유사한 과정이 훨씬 더 작은 숙주 안에서도 일어난다. 나무를 갉아 먹는 흰개미의 삶도 창자 속 미생물에 전적으로 의지한다. 흰개미는 지구에서 그 수가 가장 많은 곤충 가운데 하나로 목조 문화재 훼손의 주범이기도 하다. 흰개미가 해충으로 지목되는 주된 이유다. 그러나 좀 더 큰 차원에서 바라보면 흰개미도 지구 생태계의 어엿한 구성원으로서 나름 역할을 한다.

이전글 세계의 교사
다음글 참나무라는 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