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솜씨자랑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사택지적비 탁본입니다.
작성자 심기섭 등록일 09.08.20 조회수 129
첨부파일
654년 백제 의자왕(14년) 때활약했던 사택지적이 남긴 비. 1948년 부여읍 관북리(官北里) 도로변에서 발견되어 현재는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발견된 것은 비의 일부로서, 현존 높이 102`cm, 너비 38`cm, 두께 29`cm이다. 양질의 화강암에 가로 세로로 정간(井間)을 구획하여 그 안에 평균 4.5`cm 크기가 되는 글자를 음각하였다. 1행은 14자로 되어 있는데 현존하는 것은 앞 부분에 해당하는 4행까지로서 모두 56자이다. 비의 오른쪽 윗부분에 봉황문이 새겨져 있으며 붉은 칠을 한 흔적이 남아 있다. 문체는 중국 육조시대의 사륙변려체(四六騈儷體)이며, 자체는 웅건한 구양순체(歐陽詢體)로서 문장이나 자체가 모두 세련되어 있다. 비문의 내용은 654년(의자왕 14)으로 추정되는 갑인년 정월에 나지성(奈祗城)의 사택지적이란 사람이 늙어가는 것을 탄식하여, 불교에 귀의하고 원찰을 건립했다는 것이다. ‘사택’이란 성은 백제의 대성팔족(大姓八族) 중의 하나인 ‘사씨(沙氏)’와 같은 것이며, 《일본서기》에도 백제에서 온 사신 ‘대좌평(大佐平) 지적’이란 기록이 나오기 때문에 이 비는 백제의 최고급 귀족이 남긴 중요한 금석문 자료라 하겠다.
이전글 김생사지 답사
다음글 장미산성(사적 제400호)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