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종] 어떤 세특 기록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까? |
|||||
---|---|---|---|---|---|
작성자 | 정승섭 | 등록일 | 21.04.01 | 조회수 | 99 |
2020학년도를 기점으로 수시 선발 비율이 줄어들었고, 특히 2022학년도부터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선발인원이 약 6,500명이 감소하면서 수시 전형의 중심이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이동하고 있다. 서울 주요 15개 대학의 전형별 선발 비율을 살펴보더라도 학생부종합전형은 2021학년도에 비해 8.1%가 감소한 16,502명(35%)를 선발하는데 비해 학생부교과전형은 3.6%가 증가한 5,770명(12.2%)을 선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대학의 선발인원 중 22.9%, 15개 대학에서는 3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생부종합전형은 여전히 중요한 대입 전형이다. 최근 학생부의 비교과 영역의 기재 축소와 함께 2015개정 교육에 도입에 따른 과목 선택 수강 및 성적이 산출됨에 따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하 세특)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2월 건국대, 중앙대, 한양대 등이 공동 연구해 발표한 ‘학생부종합전형의 학생부 평가 방안 연구(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중심으로)’에서는 대학이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세특을 어떻게 평가에 활용하고 있는지 다루고 있다. 이 가운데 학생, 학부모가 주목해야 할 주요 내용을 살펴봤다. ○ 학생부 기록의 한계, 대학에서도 이미 알고 있어 해당 연구는 문헌조사와 함께 전국의 고교 교사 및 대학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이를 통해 교사와 대학 평가자의 학생부 기록 및 세특에 대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다. 그 중 많은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우려하던 ‘고등학교 및 교사 간 기재 격차’에 대한 조사 결과가 눈에 띈다. 교사는 설문에 참여한 교사의 94.5%, 입학사정관은 89%가 기재 격차가 존재한다고 동의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학교의 학생부종합전형 준비 정도’와 ‘학교 관리자, 학교 분위기’에 따라 기재 격차가 발생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여기서 눈여겨 봐야할 것은 ‘학교별 우수 학생 비율의 차이’에 대해서는 대학의 평가자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부여했다는 점이다. 이는 자사고, 특목고 등으로 대표되는 우수 고교의 경우에도 학생부종합전형에 맞는 학교 문화와 수업 방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학생부 기재 내용에 차별성을 보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분명 학교 간, 학교 내 기재 격차가 존재한다면, 이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입학사정관이 관심을 갖는 것은 △지원자의 개별화된 내용 △수업 내용 및 학생 특성 기록의 구체성 △과목별 세특 기재량 등이다. 결국 학교와 학생이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차별화된 모습을 보일 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 대학에서는 세특의 어떤 내용을 통해 어떻게 지원자를 변별할까? 해당 연구에서 입학사정관이 학생부 종합 전형 평가 시 세특을 활용할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은 ‘학생 제출 과제물 내용’과 ‘교과서 내용 기반의 응용 탐구 활동’이었다. 그 뒤를 이어 ‘교과수업 외 개인별 심화 학습 활동’, ‘교과목 외 학교/학급별 탐구 프로젝트 내용’ 등의 순위를 보였는데 이는 최근의 교육부 지침 방향과 상충되는 모습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019학년도 이후 입학자부터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연구 보고서 작성이 가능한 일부과목(수학과제 탐구, 사회문제 탐구,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사회과제 연구)을 제외하면 자율탐구활동으로 작성한 연구보고서(소논문) 관련사항 일체는 학교생활기록부 모든 항목에 기재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탐구 역량의 우수성 등을 드러내고 싶은 학생이라면 기재 가능한 과목을 중심으로 탐구 활동을 전개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와는 반대로 ‘교과목 성격과 직접 관련 없는 진로 관련 탐구’, ‘교과별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이론과 개념’, ‘교과서 외 외부자료 활용’ 등의 기록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는데, 이는 과목별 성취기준을 넘어서는 내용이나 교사가 수업 내에서 관찰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사례가 기재된 경우 입학사정관의 평가 활용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방식의 기재 기술 유형이 학생의 실제 평가 시 지원자 간의 변별에 도움이 될까? 연구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내용은 ‘과목에 대한 흥미, 진로 연계성에 대한 기술’로서 이런 활동을 통해 학생의 개별화된 내용을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뒤를 이어 ‘수업 내용과 연계된 탐구활동의 기술’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이는 학생이 수업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탐구활동까지 이어질 경우 평가의 차별성을 부여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교과 성취 수준의 이해와 성취도에 대한 기술’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학생에 따라 ‘개별화’ 또는 ‘차별화’된 내용이 아니라 일반적인 수업 내용과 학생의 이해 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이전에는 K-MOOC, MOOC, KOCW, TED등을 통해 학교수업 외의 과정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했다는 세특 내용들이 있었지만, 2021년부터는 이런 내용들이 모두 기재 불가능하게 되었다”면서 “수험생은 대학에서도 교과 과정을 넘어서는 내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하고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깊고 넓게 탐구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학생부 평가 방안 연구(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중심으로)' 공동연구 보고서 표지 이미지
▶에듀동아 김수진 기자 genie87@donga.com |
이전글 | [서울대] 서울대 입학생이 말하는 '교내활동 잘 하는 법' |
---|---|
다음글 | [약대] 2022학년도 약대 입시, 수시 54-정시 46 비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