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여자고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2022.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교육(학부모용)
작성자 주연희 등록일 22.04.25 조회수 194
첨부파일

2022.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교육(학부모용)

1. 자살 및 자살시도의 개념

자살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자해 행위로 어느 정도 자살의도를 갖고 그 동기를 인지하면서 자기 자신 에게 가한 상해라고 정의한다.

자살기도는 치명적이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나 어느 수준에서는 자신을 죽이려는 의도가 있는 스스로의 상해 행 동을 말한다.

2. 청소년기에 자살시도가 많은 이유

자살 방법 선택의 용이성

자살에 대한 태도의 변화

가족 구성원 간의 결속력 약화

급격한 신체적, 정서적, 지적 변화

자아발달의 미숙, 과도한 입시 경쟁

급격한 사회변화에 따른 가치관의 갈등

미디어와 언론매체의 적절치 못한 보도로 자살에 대한 충동 및 모방심리 형성

3. 청소년 자살의 특징

자신 나름대로의 분명한 동기가 있음

충동성이 강해 순간적으로 이루어짐

암시성이 강하며 동반자살이나 모방 자살로 이뤄짐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추락, 투신으로 인한 자살률이 증가

현실의 고통을 벗어나 사후세계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생각을 갖고 있음

4. 자살의 단서(위험, 경고)

구 분

단 서

언어적 단서

직접적 암시

나는 죽고 싶다

나는 더 이상 지탱할 수 없어

더 이상 사는 것이 의미가 없어

간접적 암시

내가 없어지는 것이 훨씬 나아

나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어

행동적 단서

오랫동안 여행을 떠날 것처럼 주변을 정리 정돈한다.

유서를 써 놓는다.

평소에 아끼던 물건들을 친구들에게 나눠준다.

알코올이나 약물남용이 심해진다.

전에 좋아하던 활동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다.

학교에서 불안해하며 공부를 제대로 못 한다.

육체적, 정서적 단서

친구 관계에 소홀해진다.

식욕이 없어진다.

잠을 너무 많이 자거나 너무 적게 잔다.

외적 용모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대부분의 증상이 우울증의 증상과 비슷하다.

5. 학부모가 갖춰야 할 태도
자녀들에게 충고를 강요하지 않기

비판하기에 앞서 경청하고 이해하기

의사소통의 연락망을 계속 열어 놓기

이야기를 들어주고 함께 시간을 갖기

학생이 계속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자녀들의 자살생각에 대해 개방적으로 질문하기

학생이 자살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자살을 할 계획이 있니?”라고 구체적으로 질문한다.

자살에 대해서 생각하거나 시도해 본적이 있는가?”,

자살의 구체적인 방법을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죽는 게 더 낫겠구나 하고 바란 적이 있는가?”,

자신이 살 가치가 없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자녀들의 행동이 염려된다면 전문가의 자문 구하기

다양한 긍정적인 대처 방법들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기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그들을 위해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하기

6. 학부모가 하지 말아야 할 태도

바보같은 일을 하려고 생각하는건 아니겠지?”라고 묻지 않기

너 자해하려는건 아니겠지?”라고 묻지 않기

혼자 두는 것, 두려워하는 것, 문제를 무시하는 것, 충격을 받거나 당황해하는 것

자살에 대해 도덕적인 논쟁을 하는 것, 비판, 충고, 설교 하는 것

소유하고 있는 것에 대해 감사하라고 이야기하는 것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고 말하는 것

7. 위기 극복을 위한 도움청하기 WHO 방법

1. Who(누구, 사람): 주변에서 자신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상을 찾아보세요.

2. How(어떻게, 방법): 용기를 내어 솔직하게 도와달라고 요청하세요.

3. Organization(협회, 기관): 전문상담기관에 도움을 받으세요.

청소년 긴급전화(국번 없이) 1388 / 응급의료정보센터(국번 없이) 1339

한국생명의전화(1588-9191, www.lifeline.or.kr)

카운셀 24(1566-2525 : www.counsel24.com)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보건복지콜센터 희망의 전화 (129 : www.129.go.kr)

한국자살예방협회(http://www.suicideprevention.or.kr)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1388 : www.kyci.or.kr)

관련 징후가 보이는 경우 담임선생님 및 학교로 연락주시면 학생상담 및 전문기관 연계를 통해 도움을 드립니다.

2022. 04. 20.

충 북 여 자 고 등 학 교 장 (직인생략)


이전글 코로나19 감염예방 학교방역 변경사항 안내
다음글 2022. 4월 기숙사비, 급식비 납부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