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고등학교 로고이미지

보건소식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안구건조증
작성자 청주고 등록일 10.08.09 조회수 317
안구건조증(건성안) 예방관리수칙   
   
 
 눈이 뻑뻑하고 아픈 증세를 보이는 ‘안구건조증(건성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최근 7년간 두배 이상 급증해 150만명을 넘었습니다(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년~2008년 건강보험 진료비 청구 자료 분석). 안구건조증(건성안)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안구건조증(건성안)의 증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하거나, 안구건조증(건성안)으로 인한 합병증(각막의 궤양이나 감염, 시야 혼탁 등)을 예방하기 위해 꾸준히 잘 관리해야 합니다. 안구건조증(건성안)의 예방관리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① 건조하기 쉬운 계절이나 사무실에서는 가습기 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실내 온도가 과하게 올라가지 않도록 조절
    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컴퓨터 사용자는 모니터를 자신의 눈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며
    조명은 직접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설치합니다.
 ③ 근거리 작업 중 휴식을 짧게 자주 가지고, 작업 도중에도 가끔씩 의식
    적으로 눈을 깜박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④ 우리 몸이 피곤할 경우 눈물 분비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과로나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노력합니다.
 ⑤ 콘택트렌즈는 각막을 덮고 있어 눈물막의 정상적인 형성을 방해하고
    안구건조증(건성안)을 유발 혹은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안구건조증
    (건성안)이 있는 경우에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⑥ 5-10분 정도 따뜻한 물수건으로 온찜질을 하거나, 눈꺼풀 세정제를
    희석하여 속눈썹이 난 부분에 약간 힘을 주어 누르면서 문지르고 다시
    따뜻한 물로 세척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안검염을 예방합니다.
 ⑦ 오메가-3가 많이 들어 있는 생선류나 견과류 등의 섭취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⑧ 눈물 분비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을 복용 중일 때에는 주치의와 상의하
    여, 가능하다면 안구건조증(건성안)의 증상에 영향을 적게 주는
    약물로 바꾸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병관리본부) (2010.4.19)
이전글 물놀이사고 예방 10대 안전수칙
다음글 유행성이하선염 (볼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