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1반

안녕하세요. 여러분! 항상 건강하고 밝은 우리반 학생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언제나 배려하고 모두를 사랑하고 뭐든지 노력하는 배사노 3기!화이팅!!

언제나 행복한 배사노 3기♡
  • 선생님 : 김보은
  • 학생수 : 남 15명 / 여 10명

듣.말.쓰 숙제

이름 연지수 등록일 13.05.26 조회수 45

제목:한복

한복은 치마, 저고리, 치마 말고도 속곳, 포, 마고자 등의 익숙하지 않은 부분들도 있답니다.

포의 기본형태는 유와 같으면서 길이만 긴 것으로, 종아리 아래 길이이다. 유, 고와 유, 상 위에 입는 예복용이었다.

상류층 남자는 중국풍의 포를 입었고 서민남자와 여자들은 기본 포를 입었다.

조끼와 마고자는 개화기 때 생긴 옷으로 현재 우리 전통 한복으로 인식되고 있다. 조끼는 1880년대 이후 남자 양복이 들어오면서 한복에 도입되었다. 한복에는 주머니가 업었기 때문에 주머니가 달린 조끼는 매우 급속이 보급되었다.

여자 한복 입는 순서:

(1) 한복 속바지를 입은 후 속치마를 입는다. (이때 여밈이 앞쪽에 오도록 입는다.)

(2)한복 치마를 어깨선과 맞추어 겉자락을 왼손으로 붙들 수 있도록 입는다.

(3)치마끈을 둘러 가운데에서 조요 준다 이때 노리개를 착용하려면 끈이 함께 부착하여 입기도 한다.

(4)고름을 고름 매는 순서에 맞춰 맨 후 진동선을 삼각형으로 접어 정리한다.

(5)수눅을 맞추어 버선을 신는다.(이때 주의할 점은 수눅이 중앙을 마주보도록 기울어지게 신어야 한다.)

남자 한복 입는 순서:(1)애의를 입은 후 바지 허리를 잘 맞추어 입는다.

(2)저고리 안쪽 작은 고름을 매듭 지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3)동정니가 잘 맞도록 고름을 맨다.

(4)대님을 치는데 요즘에는 매듭 형태로 나오기 때문에 매듭을 묶어준다.

(5)조끼를 입는다.

(6)마고자를 입는다.(이때 진동선을 정리하여 정돈된 느낌이 들수 있도록 한다.)

 요즘 한복입는 날: 결혼식날 웨딩마치를 올리고난 다음 한복을 입고 설날에 사람들이 묘지나 다른곳을 갈때 한복을 입는다.

 

죄송한데 제가 사진을 어떻게 넣는지 몰라서요.

죄송한데 글만 봐주세요.

 

이전글 듣말쓰102쪽 (국어) 탈춤의대하여
다음글 듣말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