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의 의생활 모습 ⑴ 우리 조상들은 한복을 입었습니다. ⑵ 남자와 여자가 입는 옷이 달랐습니다. ⑶ 신분에 따른 의생활 양반
· 비단으로 만든 저고리, 바지, 치마, 도포, 두루마기를 입었음. · 주로 가죽신을 신고 생활하였음.
상민
· 무명으로 만든 저고리, 바지, 치마를 입었음. · 주로 흰색 옷을 입고, 짚신을 신고 생활하였음. ⑷ 계절에 따른 의생활
: 무더운 여름철에는 모시옷과 삼베옷을 입었고, 겨울철이 되면 무명옷을 입었습니다.
오늘날의 의생활 모습
⑴ 양복, 셔츠, 블라우스, 스커트, 청바지 등을 입습니다. ⑵ 활동하기 편한 옷을 입습니다. ⑶ 한복을 입기 편하게 만들어서 입기도 합니다. 또다른의생활
★옛날 고구려 고분의 벽화에 나타난 한복: 치마가 길었소, 잔주름이 잡힘 활동적임 삼국시대 : 저고리는 남녀 모두 엉덩이 까지 내려.색동이나 주름치마도 입어다. 통일신라시대 : 중국 복식의 영향을 받음 고려시대 : 화관과 족두리, 고려 후기에 몽고풍이 상류층에 유행 조선시대 :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분되어 신분과 계급에 따라 입는 옷이 달랐다. 특수복(관혼상제복, 승복) ★오늘날 양복, 양장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한복에 대한 의식이 희박 개화기 이후부터 한볷의 기본 형태를 유지, 저고리의 길이베 변화 한복의 아름다움, 편리함을 간조한 생활 한복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