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전통과자의특징 |
|||||
---|---|---|---|---|---|
이름 | 강승훈 | 등록일 | 11.03.31 | 조회수 | 30 |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과자~ 한과! 한과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전통적인 과줄은 만드는 법에 따라 기름에 지지는 과줄, 기름에 튀기는 과줄, 판에 찍어 내는 과줄, 조리는 과줄, 엿에 버무리는 과줄, 고는 과줄 등이 있습니다.
또한 유밀과류, 강정류, 산자류, 다식류, 정과류, 과편류, 숙실과류, 엿강정류, 엿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 유과류(강정류)
찹살을 삭히고 치고 말리는 과정, 술과 콩물의 배합, 말린 참쌀을 기름에서 불어내는 과정 등 우리 조상들의 무수한 노력과 인내와 지혜의 어우러져 만들어진 한과의 대표적인 과자입니다. 눈같이 희고 가뿐한 모양에 입에 넣으면 부서질 듯 녹아 내리는 맛을 지닌 유과! 아이, 어른 할 것없이 가장 부담없이 먹을 수 있는 한과가 아닐까 싶습니다.
★ 다식류
생으로 먹을 수 있는 곡물을 가루로 만들어 꿀로 반죽 한 다음 다시판에 박아내서 만드는 과자입니다. 과자위에 수복강녕의 글귀와 꽃 문양, 물고기, 거북, 새들의 모양을 넣어 먹으면서 복을 빌기도 했다고 하네요. 과자의 크기가 크지 않고 부스러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차랑 함께 곁들어 먹으면 좋습니다.
★ 과편류
과일즙에 설탕이나 꿀을 넣고 조려서 젤리처럼 굳힌 다음 먹기 좋게 썰어 놓은 과일로 만든 과자입니다. 과일색이 고스란히 베어 있어 보기에도 아름답습니다.
★ 숙실과류
과일을 익혀 만든 과자라는 뜻으로 대추와 밤을 꿀에 조려서 만듭니다. 열매가 많으면서도 대추를 자손 번창의 의미로 생각하며 한국인들에게 인기가 좋습니다.
★ 유밀과류
꿀과 기름으로 만들어 고소하고 달콤합니다. 약과 아시죠? 바로 그거! 어렸을때 제사 지내고 나면 약과 먹는 재미가 쏠쏠했었는데~ 어린이들도 좋아하는 간식으로도 매력만점입니다. 입안에 넣으면 사르르 녹는 맛에 고려시대부터 최고의 과자로 여겨져 왔다고 합니다.
★ 정과류
생과일 또는 식물의 열매나 뿌리, 줄기의 모양새를 살려 꿀이나 엿을 넣고 달작지근하게 조린 과자입니다. 바퀴모양처럼 생긴 은은한 붉은색과 연근정과, 노란 속살이 유리알 같은 도라지정과, 분홍빛의 박오가리 꽃정과 등등. 제 모양을 살리기 위해 투자한 시간과 정성을 생각하면 먹기 아까운 과자입니다.
★ 엿강정류
엿이 오래 고아져 단단하게 굳어질 즈음 조청을 고소한 씨앗과 버무려 판판히 밀어서 만드는 과자입니다. 좀 딱딱하기도 하죠. 입 속에서 끈끈하게 늘어붙지 않도록 엿과 설탕의 배합, 조리는 시간 등 섬세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엿류
옛날 우리 조상들이 즐겨먹었던 단맛! 한과에 단 맛은 물론 고물을 묻히고 알갱이를 붙게 하는데 필요한 가장 기초적인 한과의 종류입니다. 저는 엿도 한과의 일종이였다는 걸 새삼 느꼈네요. 그냥 엿은 엿일뿐이라는 생각만 하고 있었나봅니다.
맛도 좋고 모양까지 좋은 우리 나라의 전통한과. 요즘 우리 한과의 맛을 잊고 서양과자~ 쿠키, 케이크, 초콜릿만 드시는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우리 한과도 얼마든지 달콤하고 맛있는데 말입니다. 좀 더 대중화되길 바라면서.. 우리 전통한과!!! 짱 [출처] [한과] 우리나라 전통 한과의 종류|작성자 강승훈
|
이전글 | 우리나라 전통과자의 종류와 특징 |
---|---|
다음글 | 우리나라 전통 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