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생활원칙>
1.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들어주기 (존중,배려)
2. 서로 존중의 언어를 사용하기(존중, 배려)
3. 경쟁보다는 협력하는 태도 갖기(공동체)
조선후기 인물들 |
|||||
---|---|---|---|---|---|
이름 | 이은상 | 등록일 | 17.04.20 | 조회수 | 258 |
조선후기
다섯 인물들 조선후기 인물 정약용
¨정약용 [丁若鏞,
1762.6.16~1836.2.22]
¨조선
후기 학자 겸 문신. 사실적이며 애국적인 많은 작품을 남겼고,
한국의
역사 · 지리 등에도 특별한 관심을 보여 주체적 사관을 제시했으며,
합리주의적
과학 정신은 서학을 통해 서양의 과학 지식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주요 저서는《목민심서》,《경세유표》등이
있다. 조선후기 인물 박제가
¨박제가 [朴齊家,
1750~1805]
¨조선 후기의
실학자. 박지원의 문하에서 실학을 연구했다. 1778년 사은사(謝恩使) 채제공(蔡濟恭)의 수행원으로 청나라에 가서 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筠) 등에게 새학문을 배웠으며
귀국하여 《북학의(北學議)》를 저술하여 청나라 문물을 수용할 것을 강조한 북학파를 형성했다. 정조의 특명으로 규장각 검서관(檢書官)이 되어 많은
서적을 편찬했다. 조선후기 인물 이익
¨이익 [李瀷,
1681~1763]
¨조선후기
실학자로 실용적인 학문을 주장하며 평생을 학문연구에만 몰두하여 《성호사설(星湖僿說)》과 《곽우록(藿憂錄)》등
수많은 책을 저술하였다. 그의 혁신적인 사고는 정약용 등에게 이어져 더욱 계승
발전되었다. 조선후기 인물 박지원 ¨
¨박지원
[朴趾源,
1737~1805]
¨《열하일기》,
《연암집》, 《허생전》
등을
쓴 조선후기 실학자 겸 소설가. 이용후생의 실학을 강조하였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하였다.
조선후기
인물 김만덕정약용 [丁
¨김만덕[金萬德,
1739~1812]
¨조선
후기 제주도 관기 출신이였지만 그녀의 덕행으로 정조를 알현하였고 재난을 당한 사람들을
구제하는데 평생토록 헌신하였다.
¨출처:
doopedia
若鏞,
1762.6.16~1836.2.22]
¨조선 후기 학자 겸 문신. 사실적이며 애국적인 많은 작품을 남겼고, 한국의 역사 · 지리 등에도 특별한 관심을 보여 주체적 사관을 제시했으며, 합리주의적 과학 정신은 서학을 통해 서양의 과학 지식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주요 저서는《목민심서》,《경세유표》등이 있다.
|
이전글 | 조선후기 인물들 |
---|---|
다음글 | 정약용의 업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