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7반

예의바르고 배려할 줄 아는 예쁘고 멋진 5학년 7반입니다.
  • 선생님 : 김종호
  • 학생수 : 남 14명 / 여 12명

다문화 속담여행을 읽고

이름 김다울 등록일 17.02.02 조회수 25

나는 오늘 '다문화 속담여행'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의 내용은 여러가지 나라의 속담에 대하여 나오는 책이다


제일 먼저 우주베키즈탄의 속담 중 하나인 '오래된 초폰이 편안함을 준다'

이 속담의 뜻은 우주베키스탄의 의상으로 알 수가 있다. 우주베키스탄의 의상은 '초폰이라는 외투를 걸치고 '돕프' 라는 모자를 썻다고 한다. 이 속담의 뜻은 오랫동안 사용한 물건이 더 편하다 라는 의미이다. 새것이라고 모두 좋은것은 아니다 오래되었어도 편리하고 값진 것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두번째는 인도의 속담 중 하나인 '밀은 농로 주변에서 잘되고 쌀은 낮은 늪지대에서 잘된다.'

이 속담의 뜻은 인도의 음식으로 알 수가 있다. 인도 사람들이 주로 먹는 음식은 쌀로 만드는 요리와 밀로 만드는 요리이다 그중 쌀로 만든 요리의 대표적인 음식은 '주라'이다 주라는 전과 비슷한 도사가 유명하다 그리고 밀로 만든 요리의 대표적인 음식은 '로띠아'이다 로띠아는 난의 대표적인 음식이다. 그러므로 '밀은 농로 주변에서 잘되고 쌀은 낮은 늪지대에서 잘된다.'라는 속담의 뜻은 쌀과 밀도 각각 적합한 땅이 있다는 것으로 어떠한 일을 할때에는 알맞은 곳, 적절한 자리가 있다는 뜻입니다.


마지막 세번째는 '태국'의 속담 중 하나인 '가게 마루 밑의 동전을 모으다'

이 속담의 뜻은 인도의 집의 모양으로 알 수가 있다. 주로 인도 사람들은 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집을 지었다 왜냐하면 홍수를 예방하고 산짐승들의 공격을 막기 위해 집을 높게 짓는다고 한다. 집은 보통 침실2개, 응접실,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장실은 보통 집 뒤쪽에 짓는다고 한다. 그러므로 '가게 마루 밑의 동전을 모으다'라는 속담의 뜻은 기둥을 세위 집으 짓고 집 아래의 작은 공간에 떨어진 동전을 모은다는 뜻으로 아주 적은 돈이라고 모으면 큰 돈이 된다는 뜻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다른 나라의 속담도 여러가지 중요한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번에 중국과 일본의 속담도 알아보고 싶다.


이전글 만약 달이 없어 진다면? (1)
다음글 온 산에 참꽃이다를 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