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숙제 |
|||||
---|---|---|---|---|---|
이름 | 조윤주 | 등록일 | 16.05.24 | 조회수 | 72 |
3.1 운동 1919년 3월 1일 고종 장례식날에 전국에서 조선의 독립을 위해 만세를 부른 사건 1918년 파리강화회의에서 미국대통령 윌슨을 각 민족은 스스로 민족의 운명을 결정해야 한다는 민족 자결주의를 주장하였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유학생들이 도쿄에 모여 조선의 독립을 주장하는 2.8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와 2.8독립 선언서의 영향으로 3.1운동이 전개 되었다 1919년 3월 1일 민족 대표 33인은 태화관에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였고, 탑골 공원에서는 학생과 시민들이 만세 운동을 전개하였다. 만세 운동은 전국과 해외로 확산되었으나 일본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실패하였다. 그러나 3.1운동이 조선과 주변 국에 끼친영향은 매우 컸다. 1910년대 일본 식민 정책인 무단 정치가 문화정치로 바뀌었다. 그리고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할 중요성을 인식하여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고, 무장항일운동의 필요성으로 만주에서 1920년대 독립군의 활동이 활발해졌다. 또한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무저항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어떤활동을 했을까?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신한 청년단에서 파견하여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하고있던 김규식을 민족대표로 인정하여 우리민족의 독립의지를 회의에 참석한각 나라의 대표에게 알리게하는 한편 국내에 있던 사람들에게 임시 정부의 활동상을 홍보하고 민족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다. 임시정부는 국내와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하여 비밀행정 조직망인 연통제를 설치하여 운영하였으며 통신 기관으로 교통국을 두어 정보의 수집과 분석 및 국내와의 연락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만주에는 이륭양행, 국내의 부산에는 백산 상희를 개설하여 거점으로 삼았으몀 독립 신문을 발간하여 우리 민족의 독립 운동 상황을 소상 히 보도함으로써 각지역에 사는 동포들이 독립의지를 더욱 드높였다 . 그리고 여러 독립운동 단체에 독립운동의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한편 임시 정부는 독립 운동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애국공채를 발행하거나, 국민의 연금을 거두기도 했는데, 공채가 발행되면 국내나 중국의 동포들은 물론 미국이나 멕시코에 살던 동포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임시 정부활동을 도왔어. |
이전글 | 사회 |
---|---|
다음글 | 사회 조사 숙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