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6반

♡감사할 줄 알고 사랑할 줄 알고 행복할 줄 아는 5학년 6반♡

5학년 6반
  • 선생님 : 이진영
  • 학생수 : 남 0명 / 여 0명

사회 2단원 상시평가

이름 김진선 등록일 16.11.20 조회수 8

문화 유산의 이름:고려 청자

청자란 철분이 조금 섞인 흙으로 그릇을 빚은 후 철분이 1~3% 함유된 장석유를 바르고 섭씨 1,250~1,300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 유약 속의 철분이 청록색으로 변한 자기를 말한다. 중국 한나라 때 절강성의 월주에서 원시적인 청자가 처음 만들어졌으며 5~6세기경부터 차츰 발전하여 당나라를 거쳐 송대에는 절정을 이루었다. 우리나라 청자는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부터 중국 월주요에서 만든 고월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설과 10세기 후반 고려의 중앙집권화로 등장한 새로운 지배층의 중국 청자에 대한 수요로 인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9세기 혹은 10세기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한 고려청자는 그후 발전을 거듭하여 11세기 말에는 종류도 다양해지고 그릇의 모양이나 문양, 구워내는 수법 등에서도 고려만의 독특한 특징이 나타났고,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 일대에 관요 형태의 대규모 가마들이 설치되었다.

역사적사실:고려시대의 지배층들이 중국의 청자를 매우 좋아했으나, 중국에서 수입해오는 청자의 숫자가 원하는 사람수보다 적었기 때문에 직접 제작하기 이른것입니다. 고려청자는 우리나라의 기술로 만들어진 화려하고 우수한 토기이고,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문화재중 하나입니다.

보존 상태:청자상감퇴화초화문표형 주자와 승반 ->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매병 -> 국립중앙박물관

                  청자귀룡형 삼족향로 -> 호암미술관

                  청자반양각연당초문호 -> 호암미술관

                  청자양인각도철 문방형향로 -> 호암미술관

 가치와 의의:고려청자에 높은 점수를 주는 이유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만드는것에 더 나아가
                   독특한 우리만의 기법으로 만든 상감청자를 비롯해 독자적인 청자를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청자는 발달과정 및 기법상의 변화에 따라 순청자, 상감청자, 철회청자, 진사청자, 화금청자, 철채청자, 퇴화문청자, 연리문청자로 나눌 수 있다.

1. 순청자는 상감기법이나 다른 안료로 장식하지 않은 것을 말한다. 표면 처리의 기법에 따라 소문청자, 음각청자, 양각청자, 투각청자, 상형청자로 나뉜다.
① 소문청자 : 아무 문양도 없는 청자이다. 정선된 흙으로 얇게 구워냈고, 그릇의 형태나 색 등이 뛰어난 것이 많이 있다. 10~12세기 전반기에 주로 제작되었다.
② 음각청자 : 그릇 표면에 무늬를 음각한 것으로, 가는 선으로 묘사한 것이 많다. 무늬로는 연화, 연화당초, 모란, 국화, 국화당초, 앵무, 어룡, 파도 무늬 등이 많이 쓰였으며 11세기 후반에서 12세기에 걸쳐 널리 만들어졌다.
③ 양각청자 : 무늬를 그릇 표면에 도드라지게 새긴 청자이다. 양각 기법은 음각과 함께 사용되거나 상형청자에 부수적으로 사용된 예가 많다. 무늬로는 연화, 연판, 연화당초, 모란, 모란당초, 보상화, 파도, 원앙, 봉황 무늬 등이 사용되었다.
④ 투각청자 : 그릇 표면을 투각해서 무늬를 나타낸 청자이다. 무늬 이외의 부분을 파내는 수법과 무늬 자체를 파내는 방법이 있다.
⑤ 상형청자 : 동물, 식물, 고동기 등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청자로 고려사람의 숙련된 기술이 유감 없이 발휘되어 있다. 동물의 형태를 본뜬 것은 종류도 많고 표현 형식도 가지가지인데 사람, 오리, 거북, 사자, 원앙, 용, 원숭이, 물고기, 토끼 모양 등이 있으며, 식물의 형태를 본뜬 것으로는 표주박, 참외, 죽순, 석류, 연꽃 모양 등이 있다. 그중 표주박과 참외 모양은 특히 인기가 높아서 장기간에 걸쳐 만들어졌다.
2. 상감청자 - 상감이란 원재료의 일부를 파내고 그 자리를 다른 재료로 메워 무늬를 나타내는 기법이다. 청자 상감의 경우에는 흙으로 그릇을 빚어 반쯤 말린 뒤에 그릇 표면에 무늬나 그림을 음각하고 그 자리를 백토()나 자토()로 메운 뒤 유약을 발라 구워서 투명한 청자 유약을 통해 흰색 또는 검은색 무늬가 보이도록 하였다. 12세기 전반기에 발생하여 12세기 중엽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상감청자에는 운학무늬, 들국화무늬, 포류수금무늬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① 운학무늬 : 구름과 학으로 구성되며 그 표현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 이 무늬는 주로 매병에 사용되었는데, 학과 구름을 드문드문 배치한 것도 있고 그릇 전면에 배치한 것도 있다. 보통 구름과 학의 몸통 부분에는 백토를 메워서 흰 색으로 나타내고 부리, 눈, 다리 부분은 자토로 메우거나 그려서 검은 색으로 나타냈다. 청자 고유의 푸른 바탕을 하늘 삼아 날아가는 학과 구름으로 장식된 운학문청자는 신비감을 자아낸다.
② 들국화무늬 : 무늬를 넣을 공간에 따라 국화꽃만을 넣거나 줄기에 한두 송이를 곁들여 표현하였다.
③ 포류수금무늬 : 갈대 우거진 언덕에 버드나무가 서 있고 나무 아래 잔잔한 물에는 오리 등 물새들이 노니는 평화로운 모습을 표현한 문양이다. 단순한 장식에 그치지 않고 한 폭의 아름다운 전원 풍경을 그린 듯한 느낌을 준다.
이밖에도 사람, 용, 물고기, 원숭이, 나비, 석류, 연꽃, 모란, 포도, 표주박, 당초, 보상화, 대나무, 매화 등의 문양이 상감청자에 사용되었다. 초기 상감청자들은 하나하나 정성 들여 빈틈 없이 정교하게 만들어졌으나 후대로 가면서 상감수법이 거칠어지고 그릇 형태의 선도 둔해지며 무늬배치 역시 어수선해지는 경향이 보인다.

 

 

표형주전자

이전글 비밀글 고려청자
다음글 비밀글 고려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