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2반

안녕하세요! 새 학기가 시작되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개학 연기가 되어 새 학년의 시작을 글로 인사드립니다. 코로나19의 전국적인 확산으로 교육부에서 개학 연기(휴업)를 결정하였습니다. 휴업일 동안 학생들이 스스로 계획을 세워 규칙적이고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 세심하게 지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정에서 할 수 있는 학습과제를 안내해 드리오니, 휴업일 기간에도 알차게 보낼 수 있도록 있도록 보살펴 주세요. 2020학년도에도 학생들이 행복하고 즐거운 학교생활이 될 수 있도록 학급에서 최선을 다해 지도하겠습니다. 학부모님의 관심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코로나 예방수칙 및 생활지도 안내를 참고하시어 학생들과 학부모님의 가정에 건강과 웃음, 행복이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웃음이 있어 늘 행복한 교실 ^^
  • 선생님 : 전은혜
  • 학생수 : 남 15명 / 여 13명

내가 좋아하는 노래 추천하기.

이름 전은혜 등록일 20.03.26 조회수 467
첨부파일
<국어 1. 비유하는 표현> 내가 좋아하는 노래 추천하기. 

내가 좋아해서 즐겨 듣는 노래(k-팝, 동요, 팝송, 오페라 등 모든 종류 가능)가 있다면 가사와 함께 들으면서 비유적 표현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비유적 표현이란 어떠한 것을 비슷한 공통점이 있는 다른 사물과 같다고 표현한 것을 말해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설명을 살펴보세요. 

가사 속에 혹시 비유적인 표현이 들어가 있으면 댓글로 노래를 추천할 수 있어요. 추천 된 노래는 쉬는 시간이나 중간 놀이, 점심 시간 등을 이용해서 들을 수 있습니다. 많이 추천할 수록 내가 좋아하는 노래를 더 많이 학교에서 들을 수 있고 선생님이나 다른 친구들에게도 많이 알릴 수 있겠죠? 

많은 추천 바랍니다. ^^


<예시> 방탄소년단 "DNA”
우리 만남은 수학의 공식
종교의 율법 우주의 섭리

동요 "솜사탕"
나뭇가지에 실처럼 날아든 솜사탕. 하얀 눈처럼 희고도 깨끗한 솜사탕. 





<비유적 표현>


어떤 사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그것과 비슷한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비유의 뜻 - 느낌을 팍팍 살려주는 표현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을 비유라고 해
어떤 사물의 모양이나 상태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그것과 비슷한 다른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이 '비유적 표현'이야.

 

비유1

'보름달'을 표현하기 위해 '동그란 쟁반'이나 '아기의 동그란 얼굴'에 빗대어 표현하는 것처럼 말이야.

비유적 표현의 방법 - 비유하는 방법도 가지가지

● 직접 비유하는 '직유법'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처럼, ~같이, ~같은, ~듯이, ~양' 등으로 연결하여 직접 빗대는 방법이야.

 

비유2
 

활짝 핀 벚꽃이
솜사탕처럼 부풀어
뭉글뭉글

벚꽃을 솜사탕에 빗대어 표현했다.


● 바로 연결하는 '은유법'
직유법과 달리 원관념과 보조관념을 바로 연결하여 '무엇은 무엇이다'와 같은 형태로 표현하는 방법이야.

 

 

비유3
 

우리 엄마는
시골에 홀로 계신
외할머니의 봄눈입니다.

왔다가 금방 떠나는 엄마에 대한 외할머니의 아쉬움을 봄눈에 빗대어 표현했다.

● 살아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활유법'
살아 있지 않은 무생물을 살아 있는 생물처럼 표현하는 방법이야.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라는 구절을 보면 어둠을 마치 살아 있는 생물체인 것처럼 표현했어.

이때 단순히 살아 있는 것처럼 표현하면 '활유법'이 되고, 사람인 것처럼 표현하면 '의인법'이 되는 거지.

● 사람처럼 표현하는 '의인법'
사람이 아닌 동물이나 식물, 사물을 사람처럼 말하고 행동하도록 나타내어 표현하는 방법이야.

 

 

비유4

나무들이 살아난다.
집들이 일어선다.
멀리
산들이 걸어온다.

달빛이 나무와 집, 산들 위에 비치는 모습을 나무, 집, 산들이 마치 사람처럼 움직이는 것처럼 표현했다.

● 부분으로 전체를 나타내는 '대유법'
직접 그 사물의 이름은 쓰지 않고 사물의 일부분이나 특징으로서 전체를 대신 나타내는 방법이야.

'난민에게는 우선 빵 문제가 시급하다.'고 말할 때 '빵'은 원래 밀가루로 만든 음식의 한 종류이지만, 여기서는 사람들이 먹는 모든 음식을 나타내고 있어.

● 속담이나 격언을 이용하는 '풍유법'
본뜻은 숨기고 비유하는 말만으로 숨겨진 뜻을 암시하는 표현 방법이야. "빈 수레가 요란하다."와 같은 속담이나 격언 따위가 여기에 속해.

<출처- 네이버  어린이백과>


이전글 내 기분을 말해봐! (11)
다음글 너라는 위대함을 믿어!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