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4반

  

서로 사랑하면 즐거운 학교생활
  • 선생님 : 이한별
  • 학생수 : 남 14명 / 여 12명

사회과제

이름 진천상산초 등록일 20.03.25 조회수 88

[사회] 4·19 혁명과 시민들의 노력 알아보기(사회10-15p)

 

단원명: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학습주제: 4.19혁명과 시민들의 노력 알아보기

 

 

★ e학습터를 활용할 수 있는 학생은 동영상을 보고 과제를 해결합니다. 

   클릭: https://cls.edunet.net/cyber/cm/mcom/pmco000g00.do

 

 

e학습터

 

 

 

 ★ e학습터 영상을 볼 수 없는 학생은 교과서를 봅니다. 10쪽 - 15쪽입니다. 

 

선생님과 함께 교과서를 읽어봅시다~.

 

교과서 1 

우리 학생들은 이미 4.19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수도 있습니다. 

다큐멘터리나 TV뉴스 등을 통해 자주 언급되었던, 우리나라에서 아주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기 때문이죠.


우리나라 첫 번째 대통령 이름을 아는 사람이 있나요? 

네, 이승만 이라는 이름이지요. 이승만은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헌법을 바꿔 가며 계속 대통령이 되려고 했어요.

다시 말해, 독재 정치를 했단 이야기지요. 

독재 정치를 하는 대통령이 있는데 국민들의 생활은 행복했을 리가 없었습니다~.






교과서 2
다음 대통령을 뽑을 시기가 오자, 

이승만은 또다시 자신이 대통령이 되기 위하여, 

그리고 자기와 가까운 사람을 부통령(부반장 같은 거라고 할게요~.)으로 만들기 위하여, 

1960년 3월 15일에 부정 선거를 실시하게 됩니다. 

부정 선거를 하기 전, 대구에서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생 민주 운동이 일어났었어요.

민주적인 대통령이었다면 국민의 소리를 들어야 하겠지만, 

이승만은 권력 욕심이 더 컸기 때문에 국민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부정 선거를 해버린 거죠.






교과서3
 

자, 그럼 어떤 식으로 부정 선거를 하였는가? 아주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습니다. 


1) 유권자에게 돈이나 물건을 주면서 이승만-이기붕 찍으라고 하기 

2) 국민들이 투표한 용지를 불에 태워 없애고, 조작된 용지로 바꿔치기하기

3) 투표하지 않는 사람을 대신하여 다른 사람이 이승만-이기붕에게 투표하기

4) 여러 사람이 동시에 투표소에 들어가 서로 감시하게 하기 등등...


반장 선거도 이렇게 하면 난리가 날 텐데, 무려 대통령 선거에서 그런 짓을 했던 겁니다.

국민들은 당연히 화가 났겠죠?

 

 

 

 

 

교과서 4
사람들은 이승만 정부의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시위를 하였습니다.

특히 마산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시위에 참여했는데, 이때 경찰의 폭력적 진압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습니다.

이때, 실종된 줄 알았던 김주열 학생이 죽은 채로 발견되자 사람들의 분노는 더욱 커지게 되었죠.

국가는 국민을 지켜야 하는데, 오히려 국민을 죽이다니...? 용서할 수 없는 일이었죠.




교과서 4.6
그 결과 마산에서 일어난 시위는 전국으로 확대됩니다. 

4월 19일, 전국의 시민들은 3.15 부정 선거를 실시하고 마산에서 수많은 사람을 죽거나 다치게 한 이승만 정부를 향해 

거리로 나와 시위를 합니다. 이것을 4.19 혁명이라고 하지요.


다시 말해, 4.19혁명은 3.15 부정선거마산에서의 폭력 진압(김주열 학생의 죽음)원인이 되어 일어난 혁명인 것이죠.





교과서 6

 

이승만 정부는 4.19 혁명의 시위도 폭력적으로 진압하려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또다시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쳤지요.

하지만 시위는 끝나지 않았고, 결국 이승만은 대통령의 자리에서 물러났습니다. 

3.15 부정 선거가 무효가 된 것이에요.

결국 선거는 다시 치르게 되었고, 새로운 정부가 세워집니다.

 

교과서 5

순서를 정리할까요? (교과서에 제시된 순서와 약간 다르게 해볼게요)

 

1) 3.15 부정 선거 전, 대구에서 이승만 정부에 반대하는 학생 민주 운동이 일어남

2) 3.15 부정 선거가 치뤄짐 (자유당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기붕)

3) 마산에서 3.15 부정 선거를 비판하는 시위가 일어남

4) 마산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침 (김주열 학생).

5) 마산에서의 일로 분노한 전국 시민들이 4월 19일에 시위에 참여하였고 이후에도 대학 교수 등 많은 사람들이 참여함

6) 결국 이승만이 대통령 자리에서 물러남

7) 3.15 선거는 무효가 되고, 새로운 선거를 통해 새로운 정부를 수립함

 

 


 

 

 

교과서7 

 

4.19혁명 때는 초등학생까지도 시위에 참여했다고 해요.

그들의 용기와 민주사회에 대한 열망이 정말 존경스럽지 않나요?


민주적이지 못한 정부는 국민 스스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

국민의 관심과 참여가 있어야 민주주의가 지켜진다는 것을 알 수 있던 4.19 혁명이었습니다.

 

 

 

이제 과제를 해결하러 가 볼까요?

http://school.cbe.go.kr/_class/board/view/jcsangsan-e/2020/G02020603/394903/9569437?

 

 

 

시간이 있는 친구들은 심화 영상으로 마무리하도록 해요:-) 

가족과 함께 보아도 좋을 교양 지식 영상이랍니다.

 

http://school.cbe.go.kr/_class/board/view/jcsangsan-e/2020/G02020603/394903/9569465?  

이전글 복습시험관련
다음글 수학과제7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