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성이 먼저다!
  • 선생님 : 이승은
  • 학생수 : 남 16명 / 여 11명

사회과제 3차

이름 이승은 등록일 20.03.23 조회수 59
첨부파일
사회과제 3차.hwp (63.5KB) (다운횟수:41)

아래의 글을 빈공책이나 A4용지에 똑같이 한 번 적습니다.

(*한글파일을 첨부하니 출력해서 보고 적을 사람은 그림은 빼고 적으세요.)

 

 

백제의 문화유산

무령왕릉

무령왕릉에서는 백제의 문화유산 외에도 중국의 문화유산과 ( 일본 )소나무로 만든 물건이 함께 발견되었다.

다른 나라의 물건들이 발견되었다는 것을 통해 백제가 다른 나라들과 ( 교류 )를 많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백제

( 금동 대향로 )

백제 사람들이 뛰어난 예술 감각과 능력을 가졌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익산 미륵사지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건물의 터만이 남아 있다.

익산 미륵사는 백제 ( 무왕 ) 때 지은 절로 백제에서 규모가 가장

컸다고 전해진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석탑 중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석탑이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 목탑 )의 모습을 본떠 잘 다듬은 돌을 쌓아 만들어졌다.

신라 문화유산과 특징

( 경주 )에는 금으로 만든 장신구, 도기, 유리병 등 신라의 문화와 대외 관계를 보여 주는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 있다.

절과 탑이 많이 세워졌다.

선덕 여왕은 분황사와 황룡사 9층 목탑 등을 만들어 ( 불교 )의 힘으로 이웃 나라가

쳐들어오는 것을 막아 내고 나라의 힘을 모으려고 했다.

( 첨성대 )는 하늘의 별, 해와 달의 모습 등을 관찰하는 시설로 알려져 있다.

가야 문화유산과 특징

가야 지역에서는 질 좋은 철이 많이 생산되어 철기 문화가 발달했다.

가야 사람들은 철을 이용해 다른 나라보다 우수한 칼과 창, 갑옷 등을 만들어 냈다.

가야는 철과 철로 만들어진 물건들을 ( 일본 )으로 수출하는 등 다른 나라와 활발히 교역했다.

가야의 악기인 ( 가야금 )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불국사의 특징

신라의 ( 불교 )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신라 사람들이 ( 부처 )의 나라를 이루려는 마음을 담아 지은 절이다.

고대 한국 절의 특징을 잘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건축물이 아름답고 독특하여 역사적

가치가 있음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불국사에 있는 문화유산

청운교와

백운교

불국사의 입구에 있는 ( 계단 )이다.

불국사와 현실 세계를 이어 주는 다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불국사

( 다보탑 )

다양한 모양으로 깎은 돌을 독특한 방식으로 쌓아 화려한 모습이 특징이다.

불국사

삼층 석탑

석가여래상주설법탑, ( 석가탑 ) 등으로 불린다.

단순함과 절제가 돋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탑을 보수하는 과정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발견되었다.

석굴암의 특징

화강암을 쌓아 올려 ( 동굴 )처럼 만든 신라 시대의 절이다.

석굴암 내부에는 본존불과 함께 불교의 여러 신과 불교와 관련된 인물들이 조각되어

있다.

신라인들의 우수한 기술이 담겨 있다.

건축 기술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그 내부의 예술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석굴암에 담긴 신라인들의 기술

건축 기술

여러 방향에서 돌을 ( 아치형 )으로 쌓아 올린 후 정상에 크고 둥근

돌을 한 장 얹어 돔형으로 천장을 완성했다.

기둥을 세우지 않고도 튼튼한 지붕을 만들었다.

과학 기술

기도를 하는 위치에서 불상을 볼 때 불상의 머리가 두광의 ( 중앙 )에 오도록 만들어졌다.

석굴암 바닥에 항상 ( 차가운 물 )이 흐르게 해 내부의 습기가 땅

속으로 스며들게 함으로써 석굴 안의 습도를 조절했다.



이전글 사회과제 4차
다음글 사회과제 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