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1반

안녕하세요. 2020년 6학년 1반이 된 것을 환영합니다.

바른 인성을 가진 학생이 되기를 바랍니다.

인성이 먼저다!
  • 선생님 : 이승은
  • 학생수 : 남 16명 / 여 11명

사회과제 2차

이름 이승은 등록일 20.03.19 조회수 58
첨부파일
사회과제 2차.hwp (1.34MB) (다운횟수:42)

아래의 글을 빈공책이나 A4용지에 똑같이 한 번 적습니다.

(*한글파일을 첨부하니 출력해서 보고 적을 사람은 그림은 빼고 적으세요.)

 

고구려의 발전

국내성으로 수도를 옮기고 꾸준히 정복 활동을 벌였다.

고구려의 전성기(5세기)

광개토 대왕

서쪽으로는 ( 요동 ) 지역을 차지했다.

남쪽으로는 백제의 영역이었던 한강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장수왕

광개토 대왕릉비를 세웠다.

( 평양 ) 지역으로 수도를 옮기고 남쪽으로 영역을 더욱 확장했다.

고구려의 전성기(5세기)

신라의 발전

5세기 초, 백제와 손을 잡고 고구려에 맞섰다.

신라의 전성기(6세기)

( 법흥왕 )

남쪽으로 낙동강을 넘어 가야 지역까지 세력을 넓혔다.

진흥왕

고구려, 백제로부터 한강 유역을 빼앗아 차지했다.

( 대가야 )를 흡수하고 가야 연맹을 소멸시켰다.

신라의 영토 경계를 알려 주고자 네 개의

( 비석 )을 세웠다.

신라의 전성기(6세기)

신라 삼국 통일의 과정과 의미

과정

신라는 당과 동맹을 맺고 백제(660)와 고구려(668)를 차례로 멸망시켰다.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하자 당은 동맹을 깨고 ( 한반도 ) 전체를 차지하려고 했다.

신라는 당을 상대로 전쟁을 벌여 승리했고 ( 문무왕 ) 때 삼국 통일을

이루었다(676).

의미

한반도에 있던 여러 나라를 ( 처음 )으로 통일했다.

발해의 성립과 발전

성립

고구려의 유민이었던 ( 대조영 )이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을 이끌고 스스로를 고왕이라 칭하며 동모산 지역에 세웠다.

발전

고구려의 옛 땅을 대부분 되찾았다.

‘( 해동성국 )’이라고 불릴 만큼 강한

국가로 성장했다.

고구려의 문화를 바탕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 불교 )문화가 발달했다.

발해의 전성기(9세기)

고구려의 문화유산

고분 벽화

고구려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고분 벽화를 ( 많이 ) 남겼다.

고분 벽화를 통해 그 당시 사람들의 의식주, 종교 등과 관련된

( 생활 모습 )을 살펴볼 수 있다.

고구려의 고분 벽화로는 안악 3호분의 부엌과 고기 창고 그림,

( 무용총 )의 접객도 등이 있다,

불상

고구려 땅이 아닌 곳에서 발견된 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은 현재

남아 있는 불상 가운데 ( 삼국 시대 )를 대표하는 금동불이다.



이전글 사회과제 3차
다음글 사회과제 1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