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쇄를 할 필요는 없어요. 인쇄하고 싶은 친구들은 첨부파일을 클릭하세요. 학습지를 보고 내가 공부한 것을 확인해 보세요~~ | 3. 알맞은 높임 표현 | 활동일: 4/7 | 높임 표현을 사용하는 방법 알기 | 3학년 | 반 | 이름: |
■ 다음을 높임 표현으로 고쳐 보세요. 1. (할아버지에게) 할아버지 밥 드세요. 2. (친구에게) 우리 할머니는 망고를 좋아해. 3. (할머니에게) 할머니, 학교 갔다 올게. 4. (아빠에게) 할머니 집에 언제가요? 5. (친구에게) 우리 할머니는 나이가 많으셔. |
| 2.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 이야기 | 활동일: 4/7 | 지역의 ‘이름’과 관련된 옛이야기 알아보기 | 3학년 | 반 | 이름: |
☺ 보기를 보고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맞을 찾아 써 봅시다. <보기> 말죽거리, 기와말, 피맛골, 천안삼거리, 얼음골, 탄천, 두물머리, 안성맞춤 |
이름 | 옛이야기 및 유래 | ( ) | 말(을 탄 양반)을 피하기 위한 좁은 길 | ( ) | 숯을 씻는 물 (숯내 -> ) | ( ) | 천안: 경상도에서 서울 가는 길과 전라도에서 서울 가는 길이 만나는 삼거리가 있음 | ( ) | 안성: 유기를 만드는 사람이 많았는데, 품질이나 모양이 사람들을 매우 만족시켜 ( )이라는 말이 생겨남. | ( ) | 북한강과 남한강의 두 물줄기가 만나는 곳이라 해서 붙은 이름 | ( ) | 초여름에 얼음이 얼기 시작해 한여름에 가장 많이 얼음이 생겨서 | ( ) | 기와를 굽던 큰 가마터가 있어서 *말 : 마을을 줄여서 쉽게 부르는 낱말 | ( ) | 서울을 오가는 사람들이 말에게 죽을 끓여 먹인 곳 |
|
| 2. 물질의 성질 | 활동일: 4/7 | 물체의 성질 알아보기 | 3학년 | 반 | 이름: |
1.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 모양이 있고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 )(이)라고 합니다. | • 우리 주변에 연필, 지우개, 옷, 가방, 책상, 장난감 등은 ( )입니다. |
( ) 2. 우리 집에 있는 물체들에서 어떤 느낌이 드는지 써 봅시다. 예시) 물체 | 물체의 느낌 | 물체 | 물체의 느낌 | 의자 | 딱딱하다. 까칠까칠하다. | | | 물체 | 물체의 느낌 | 물체 | 물체의 느낌 | | | | | 물체 | 물체의 느낌 | 물체 | 물체의 느낌 | | | | |
|
| 인성교육 | 활동일: 4/7 | 나지사 명상하기 | 3학년 | 반 | 이름: |
<도입> 1. 인성동화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를 보고 아래의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세요. Q1. 작은 키가 늘 마음에 들지 않았던 소년은 어떤 기분이었을까요? Q2. 작은 키가 불만인 아들에게 어머니는 어떻게 했나요? Q3. 여러분은 외모가 마음에 안 들 때 어떤 생각을 하나요? <활동1> 2. 나를 믿어봐! 가족과 함께 한 지금 한 활동에 대해서 어떤 기분을 느꼈는지 적어볼까요? <활동2> 3. 나지사가 뭘까요? 산토끼 노래에 맞춰 나지사 노래를 불러봅시다 나지사 명상은 ‘하는구나’ ‘그랬겠지’ (산토끼 토끼야 어디를~ 가느냐~) ‘그만한 게 다행이지’ 이렇게 하는거야 (깡충깡충 뛰면서 어디를~ 가느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