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학년 1반

안녕하세요?

21명의 사랑스러운 아이들이 모여

스스로 열심히 공부하며

서로 도움을 주고 있는 4학년 1반입니다. 

행복한 나, 소중한 너, 함께하는 우리
  • 선생님 : 장지현
  • 학생수 : 남 12명 / 여 9명

과학토론대회 문제

이름 이찬우 등록일 21.04.21 조회수 14

인위적 요인이 큰문제이다

본래 자연은 순환 되면서 문제가 생겨도 지구에 자정능력 으로 다시 돌아왔다 자정능력을 넘기게 되면 문제가 생긴다 문제로는 폐수문제 전쟁으로 인한환경파괴 미세플라스틱 문제 등에 일들 모두가 인간으로부터 문제 생겼다인간이 없었다면 지구는 깨끗하고 평화로울것 입니다

지구온난화를 막는방법

1. 충적운 이라는 구름을 만듭니다 충적운은 지구에 구름중 약20%인데 태양광을 약30%를 막아줍니다 꼭충적운이 필요한 이유는 적락운 같은 구름으로 가득차게 되면 지구는 물바다가 되고 시간이 흘러 구름안에 있는 열이 빠져나가지 못해 금성처럼 평균온도 300도가 넘는 행성이 될수 있습니다 스티븐셀터,에든

버러명예교수는 이연구의 핵심인물 입니다 그는 배가 지날때 생기는 오염물질이 바다에 있는 구름에 영향을 주는걸 발견했습니다 배에서 나오는 오염물질 입자가 올라가 응결핵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그 오염물질를 중점으로 뭉쳐지게 됩니다 그렇게해서 태양광을 반사하는 구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어지게 되면 해양오염이 큰문제가 될수있습니다 그래서 오염물질이 생기지 않으면서 충적운을 만들방법을 찾아내야 합니다

2.지구를  하얗게 칠하는 방법 입니다 일반적 으로 어두울수록 알베도가 낮습니다 색이 어두울수록 빛을 많이 흡수해 뜨거워진다는 겁니다 흰색으로 칠하게되면 알베도가 높아져 태양에서 오는 빛을 반사합니다 단지 서울에 옥상과 지붕만 칠해도 약나무20만그루를 심는것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내일 당장 지구에모든 도시를 하얗게 칠하면 2300년까지 약0.07도를 나출수 있습니다 이양은 지난 20~30년에 자동차 배출가스와 맞먹습니다 특수원료를 사용해 눈부심을 낮출수 잊죠

3.북극을 다시 얼리는 겁니다 빙하밑에 있는 바닷물를 다시 빙하위로 올리는 거죠 이방법을 쓰게 되면 빙하가 두꺼워져 두께를 유지하는 겁니다 왜 빙하밑에있는 바닷물을 사용해야 될까요 물질이 얼게되면 주변에 열을 방출 합니다 당연히 바닷물이 얼때도 나오게 되죠 빙하 아랫바다에서 얼리면 열은 바닷물에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이열을 빙하밑에 가두는게 아닌 공기중으로 빼는것이죠 하지만 이방법은 큰금액이기에 실행하기 어려운 규모 입니다

하지만 아무 방법도 쓰지않고 기다리는것 보단 시도 하는게 낮지 않을까요?이방법외에도 불필요한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가까운거리는 걷거나 자전거 타기 분리수거 잘하기함부로 쓰레기 버리지 않기등 여러가지 사소하지만 지구에 도움을 주는 방법들은 많이 있습니다

출처:고구마머리 만약 지구가 구름으로 뒤덮여 있다면 어떻게 될까?(feet.지구온난화 해결),만약 지구를 하얗게 칠한면 어떻게될까?(feet,삐야렐레), 만약 지구의 얼음이 모두 녹는다면 무슨일이 벌어질까(4분삭제)|북극과 남극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녹으면 일어나는 일은 재앙그자체...

이전글 dfdf
답변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