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학년 2반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너도 그렇다. -풀꽃 나태주-

존중하는 5학년 2반, 존중하는 선생님
  • 선생님 : 권민경
  • 학생수 : 남 16명 / 여 16명

5학년 2반 23번 이윤서 (기지시 줄다리기)

이름 이윤서 등록일 18.12.13 조회수 32

      

                                                                기지시  줄다리기

 

줄 만드는 과정은 짚 30개 정도씩 동아바 300가닥을 150여m씩 꼬아 줄드리기─줄 엮기─줄 말기─목줄 만들기─젓줄 매기─꽁지줄 만들기 순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에 줄틀을 사용하였다. 50가닥의 줄 세 가닥을 줄틀에 넣어 150가닥짜리 원줄을 만들고 이렇게 만들어진 줄을 농악대와 함께 수백 명이 밀고 끌어 줄다리기장으로 옮겼다. 숫줄은 먼저 물위 사람들이 운반하기 시작하고 이를 따라서 물아래 사람들이 암줄을 끌고 그 뒤를 따른다. 이렇게 줄다리기장에 도착하면 머리를 돌려 암수 두 줄을 끼워 비녀장으로 결합시키고 그 줄을 펼친다. 그런 다음 수많은 사람들이 구름떼처럼 달려들어 줄을 다리기 시작하는데, 수만 명이 약 5분간 당겨 2~3m정도 끌려가면 승패가 판가름된다. 줄다리기에서 이긴 마을 중 한 마을을 추첨해 1등에게 황우 1두를 주고, 2등부터 5등까지는 상금과 농기를 주었다. 1936년의 경우 농기는 물아래가 50개, 물위가 46개였다. 송악면과 송산면 전체 마을, 당진읍 시곡리, 순성면 갈산리·옥호리, 합덕읍 소소리, 우강면 창리, 신평면 거산리·초대리·남산리·금천리·한정리가 참여하였다. 1960년도에는 농기가 96개, 송악면 일원 송산면 일원, 당진읍 시곡리, 순성면 옥호리, 우강면 창리, 신평면 거산리 등의 두레가 참여하였다.기지시는 ‘틀못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틀못이가 틀모시, 틀무시로 음운변화하여 ‘틀’은 논틀, 밭틀과 같은 둑을 의미하고, ‘못’은 물이 좋은 샘을 의미한다. ‘이’는 장소를 의미하여 정리하면 ‘기지시’는 산 능선 아래 좋은 샘이 있는 장소를 의미한다.

당진명물 기시지줄다리기축제 [전국체전특집] 유네스코도 주목한 500년 전통 ‘기지시줄다리기’

[네이버 지식백과] 기지시 줄다리기 (한국민속예술사전 : 민속놀이, 국립민속박물관)

이전글 기지시 줄다리기(이두휘)
다음글 5학년2반30번 조윤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