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견(국가무형 문화제) |
|||||
---|---|---|---|---|---|
이름 | 장나영 | 등록일 | 16.06.01 | 조회수 | 24 |
안녕하세요 여러분
택견은 유연한 동작으로 상대방을 제압하고 자기를 방어하는 우리나라 전통무술로서 고구려 고분벽화에 택견을 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행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에는 무술로서 기술이 더욱 발달하여 무인들 사이에서 무예로 성행하게 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대중화된 경기로서 무인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널리 행하게 되었습니다
택견의 수련은 1 혼자익히기 : 기본자세(품), 서서익히기(품밟기, 활개짓, 발질과 손질), 나가며 익히기(활개짓, 손질, 발질) 2 마주메기기 3 견주기(대걸이, 겨눔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택견의 특징은 첫째, 손발과 몸 동작이 근육의 움직임과 일치하고, 유연하며 자연스럽게 주고 받을 수 있는 전통있는 무술이다. 둘째, 음악적이며 무용적인 리듬을 지니고 있어 예술성 짙은 무예입니다 셋째, 공격보다는 수비에 치중하고 발을 많이 움직입니다 |
이전글 | 택견 |
---|---|
다음글 |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