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6반

콩깍지 속에서 콩알들이 단단하게 여물듯

따뜻하고 안전한 교실 속에서 

행복하게 생활하는 우리반입니다. 

 

※개인정보보호 및 학습자료 저작권 보호를 위해 공지사항을 제외한 알림장, 학생게시판, 학급앨범 자료는 회원가입/승인 후 로그인한 회원만 보실 수 있습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
  • 선생님 : 최유라
  • 학생수 : 남 11명 / 여 14명

2021.03.10.수 - 진로검사

이름 최유라 등록일 21.03.10 조회수 48
첨부파일

1. 안내장 2장 : 학교운영위원회 선출 안내 (잘 읽어보세요.)

2021. 교내 과학의 달 대회 신청 안내

 - 4월 8일 목요일 3~4교시 예정되어 있습니다.

 - 융합과학, 과학토론, 항공우주, 자연관찰탐구대회 중 원하는 대회가 있다면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 동시에 진행되기에 1인 1종목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신청하지 않은 학생은 해당 시간에 교실에서 키트를 제작할 예정입니다. 

 - 대회에 참가하는 학생은 키트를 받아 가정에서 조립할 수 있습니다. 

 - 신청서는 이번주 금요일까지 제출이며, 직접 본관 4층 5-4교실로 하면 됩니다. (아침마다 안내 예정)

 

2. 내일 체육 들었습니다. 운동하기 편한 복장으로 오세요.

 

3. 내일 원격 수업 국어-가 교과서 필요합니다.

- 창체 학습지도 함께 나갑니다. 

 

4. 사람, 길, 차, 코로나조심.

 

*학교종이로 알레르기 조사가 나간 것으로 압니다. 꼭 참여해주세요!

 

-

오늘은 진로검사를 하는 날.

진로검사 1시간 영어전담 1시간 하니 2시간만에 어제 정했던 1인 1역 정하고 국어 수업 시작하고,

진단평가 결과 이야기해주고, 알림장쓰는 것까지. 매일이 숨가쁩니다.

 

 

이건, 어제 정했던 우리 반 1인 1역 필요한 곳.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

그리고 오늘 뽑기로 청소구역을 정하였습니다.

2주에 한 번씩 변경되며, 모두가 한번씩 역할을 해보려고 합니다.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_01

일부러 뽑기로 아이들을 뽑았고, 

그리고 2~3명씩 같이 묶어놓은 이유는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많은 것을 경험하길 바라서입니다.

 

아이들에게 갈등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그랬을 때 어떻게 행동하라고 알려주었습니다.

당연히 갈등이 잘 해결되면 좋겠지만 세상 살아 보면 그렇지 못한 경우가 훨씬 많다고.

두 사람이 의견을 어떻게 조율하는지 방법을 말해주고, 

그래도 안 되면 선생님에게 와서 이렇게 말하라고 안내해주었어요.

 

또 저는 25명의 아이들이 모두 다 친하게 지낼 수는 없다고도 이야기해주었어요.

물론 다 친하게 지내면 참 좋겠지만, 서로 성향이 다른데 어찌 그러하겠어요.

게다가 세상은 좋아하는 사람과만 지낼 수 없는 곳!

싫어하는 사람, 혹은 어색한 사람과 어떻게 지내는지도 학교에서 배웠으면 좋겠다고요.

미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또 어색한 사람과 함께 어떻게 있어야 하는지, 이런 것을 모르고 자라면 

학교폭력이 발생하기도 한다고요. 

 

그래서 뽑기 프로그램을 통해 임의로 짝이 되고, 

그 안에서 서로 역할을 분담하는 이야기를 나누고,

그 과정에서 친해질 수도 있고, 친해지지 않을 수도 있고,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미리 다 이야기를 해주고 어떻게 행동하라고 매뉴얼을 정해주었습니다.

 

4교시에 진로 검사를 진행하느라 못하는 역할이 생겨서 내일부터 1인 1역을 시작하기로 했고요.

 

 

그 후에 진단평가 결과를 전체적으로 말해주었어요.

이 평가는 아이들에게 점수를 알려주지 않습니다. 가정에도 마찬가지고요. 도달/미도달 여부만 안내드리는데요.

오늘 저는 100점 맞은 아이들은 알려주었습니다. 

그 이유는 100점은 공부만 잘 해서 가능한 게 아니라, 객관식 문제를 잘 푸는 능력(꼼꼼한 성향이라던가)을 가진 아이라

청소를 잘 하는 아이, 발표를 잘 하는 아이를 칭찬하듯 100점 맞은 아이들을 칭찬해주었어요.

 

그 후에 어떻게 해야 100점을 맞을 수 있는가에 관한 이야기를 했지요.

즉, 문제를 꼼꼼하게 풀어내는 방법. 

지저분하게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아래에는 예시인데요, 사회 1번 문제의 객관식 보기입니다.

이 보기를 정답만 찾는 것이 아니라, 틀린 것을 100% 틀린 것이 맞는지 확인해나가는 방식으로

 

'실수해서 틀렸어요!' '아는데 틀렸어요' '잘못 체크했어요' 같은 일이 없도록 하는 것!

최소한 내가 아는 것은 다 맞게 하는 방법을 이야기했답니다.

차차 더 알려주려고요^^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_02

5교시에는 국어 수업의 이유에 관해 생각해보았습니다.

국어를 왜 배워야 할까. 이것을 아는 것이 가장 좋은 동기유발이라고 생각했고요.

먼저 아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를 나눈 후에 제가 생각하는 이유를 말해주었습니다.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_04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_05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_06

batch_KakaoTalk_20210310_135218129_07

 

아이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연애, 결혼, 가족만들기를 잘하기 위해서 국어를 배우는 것이다, 라는 내용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하여 

국어를 잘하느냐 못하느냐가 사람에 관한 인상을 좌지우지하고,

특히 우리는 그 사람을 알 수 있는 방법이 결국 글과 말이 될 수 밖에 없어서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이야기 나누고, 

말과 글을 잘 배워두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생각해보도록 하였습니다.  

국어-가 단원을 보며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고민했고요.

예를 들어 속담은? 배워서 뜻을 모르면 대화 자체의 의미를 잘 몰라서, 

누군가 나를 나쁘게 말하는데도 그걸 전혀 모를 수도 있다는 것이라던가.

주장과 근거 같은 경우에는 사기꾼이 말을 할 때 그것을 가려낸다던가.. 같은 것이죠.

 

6교시는 영어 수업이었고, 수업 끝나고 방금 아이들이 갔습니다 :)

이제 해야 할 각종 학기초 검사들이 지나갔으니,

내일은 좀 더 여유있게 이야기 나눌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이전글 2021.03.11.목 - 오늘 먹은 파인애플의 진실
다음글 2021.03.09.화 - 진단평가 (2) 과학,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