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런히 배우고
바르게 행하며
튼튼하게 자라자!~
2411 변현수 역사 |
|||||
---|---|---|---|---|---|
이름 | 변현수 | 등록일 | 20.09.28 | 조회수 | 4 |
서적점은 문종 때에 설치되어 공양왕 3(1391)년에 폐지되었으며, 서적포도 숙종 6(1101)년 3월에 설치되었으나 고려말기에 이르러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정도전이 서적포에 주자를 장치하고 서적을 간행하여 독서인들에게 제공하자고 요청하자 이에 공양왕 4주자와 인서를 관장하는 서적원을 행정의 한 기구로 설치하였던 것이다.
1392)년 정월에
고려 시대의 건축은 궁궐과 사원이 중심이었는데,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개성만월대 터를 보면 당시 궁궐 건축을 짐작할 수 있다. 경사진 면에 축대를 높이 쌓고 건물을 계단식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건물이 층층으로 나타나 웅장하게 보였을 것이다. 고려 전기에는 주로 주심포 양식이 유행하였는데, 13세기 이후에 지은 일부 건물이 지금까지 남아 있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은 가장 오래 된 건물로 알려져 있고,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예산 수덕사 대웅전은 균형잡힌 외관과 잘 짜여진 각 부분의 치밀한 배치로 고려 시대 건축의 단아하면서도 세련된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
개성만월대 부석사 무량수전 |
이전글 | 역사 2404김대훈 |
---|---|
다음글 | 2402 금정현 9월25일 수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