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년 4반

부지런히 배우고

바르게 행하며

튼튼하게 자라자!~ 

부지런히 배우고 바르게 행하며 튼튼하게 자라자
  • 선생님 : 임지완
  • 학생수 : 남 32명 / 여 0명

2402 금정현 9월25일 역사

이름 금정현 등록일 20.09.25 조회수 4

고려는 광종 때 과거 제도를 마련하여 새로운 지식 계층이 대두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성종 때에 수서원과 비서성을 두어 여러 서적을 출판, 수집하고 교육을 장려하였다. 이리하여, 유교 정치를 할 수 있는 지식층이 형성되면서 정치의 사상 체계가 성립되었다. 이 때, 주로 활약한 사람은 최승로와 김심언이었다. 

이 새로운 지식 계급에 의해 실시된 유교 정치는 한문학에도 크게 영향을 끼쳤다. 이 때의 한문학은 중국의 것을 그대로 모방하던 신라 말의 단계를 벗어나, 점차 독자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리하여, 시문을 짓는 것이 지식인의 기본적 교양이 되었고, 일상 생활에 있어서도 유교 경전의 문구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주체성을 잃지 않고 있었다. 이는 당시의 지도층이 사회의 개혁과 새 문화를 창조하는 독자적인 능력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초기의 학풍은, 경원 이씨 일파가 집권함에 따라 점차 보수적인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리하여, 자주적인 유교 정신을 강조하기보다는 귀족 사회의 안일함을 찬미하는 한문학이 성하여 갔다.

이와 같이, 고려의 한문학 수준이 높아 감에 따라 문인들의 저술도 많아졌으나, 지금 전하는 것은 금석문 외에 11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가락국기, 균여전, 대각국사 문집과, 12세기에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 등이 있다.

이전글 2402 금정현 9월25일 수학
다음글 2401 권재현 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