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3반

'목표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게' 개성을 존중하며 함께 걸어가는 우리 3학년 3반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들
  • 선생님 : 오승교
  • 학생수 : 남 13명 / 여 12명

12월 30일 (수) 수업

이름 오승교 등록일 20.12.30 조회수 31

* 원격수업이 10시에 시작합니다.

* 아래의 파란색 영어 줄을 클릭하세요.

https://us02web.zoom.us/j/7910275146?pwd=dTdhVURGSUZoL2ViT1BjcGJNdlhSUT09

 

*과제: 인어공주 읽기. 다음 주 국어시간에는 인어공주를 알고 있어야 수업이 가능합니다. 아직 인어공주의 이야기를 모르거나, 책을 읽지 않은 친구들은 인어공주를 미리미리 읽도록 하세요.

 

* 그리고 학교홈페이지 우리반 알림장에서는 사진이 올라가지 않으니 충북e학습터로 로그인하여 수업내용을 보도록 하세요.

1교시 수학

학습문제: 자료를 수집하여 표로 나타내어 보기 (교과서 128-129)

1. 세 번째 주사위 문제: 자료 수집 방법 정하기

- 자료 수집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직접 손들기, 붙임딱지로 붙이기, 온라인 설문하기 등

- 내가 고른 조사 방법은 무엇이고, 고른 이유는 무엇인지 교과서 128쪽에 적어 보세요.

- 3학년 자료 조사 방법: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설문에 참여해 주세요.(28일에 꼭 하기)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기: http://naver.me/FxzU7sOo

2. 네 번째 주사위 문제: 조사한 결과를 절이하여 표로 나타내기

- 조사한 결과를 표로 나타내어 보세요.(온라인 설문으로 조사한 내용은 내일 수학시간에 알려주겠습니다. 네 번째 주사위 문제는 내일 수학시간에 보충하겠습니다.)

. 설문에 참여한 학생 수

1

2

3

4

설문에 참여한

학생 수

. 올해 가장 재미있었던(기억에 남는) 학교 행사

온라인과학

대회

학교 사랑방운영

장애인식개선교육

다문화이해

교육

인성교육

캠페인활동

생존수영교실

원예체험

. 내년에 꼭 다시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학교 행사

온라인과학

대회

학교 사랑방운영

장애인식개선교육

다문화이해

교육

인성교육

캠페인활동

생존수영교실

원예체험

- 표로 나타낼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조사 내용에 알맞은 제목을 정합니다.

조사 항목의 수에 맞게 칸을 나눕니다.

조사 내용에 맞게 빈칸을 채웁니다.

합계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 나타낸 표를 보고 알 수 있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설문에 가장 많은 학생이 참여한 반은?

올해 가장 재미있었던 학교 행사는?

내년이 꼭 다시하고 싶은 학교 행사는?

5. 수학익힘책 90-91쪽 문제 해결하기

2교시 국어

학습문제: 알맞은 표정, 몸짓, 말투를 생각하며 극본 읽기 2 (287~289)

1. 이번 시간에는 토끼의 재판에 나오는 인물에게 어울리는 표정, 몸짓 말투를 상상해보고 표현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2. 2863번을 볼까요? ‘토끼의 재판에 나오는 인물에게 어울리는 표정, 몸짓 말투를 상상해 봅시다.

- 287쪽에 두 개의 상황이 있습니다. 그림을 보고 어떤 상황인지 생각해 보세요.

- 첫 번째 그림은 호랑이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토끼의 모습이네요.

- 두 번째 그림은 호랑이가 궤짝에 들어가자 문고리를 잠그는 토끼의 모습이에요.

- 각각의 상황에서

1) 인물의 성격이나 마음을 짐작해 보고,

2) 극본에서 인물의 표정, 몸짓, 말투를 알려 주는 부분을 찾아보세요.

3) 그리고 그때 어떤 표정, 몸짓, 말투를 할지 상상해서 287(1)번에 써 보세요.

3. 2884번을 보세요.

1) 붙임 11의 붙임딱지를 활용하여 토끼의 재판에서 중요한 사건을 차례대로 붙여 보세요.

2) 다 붙여 보았나요? 이번에는 붙임딱지에 나오는 인물의 마음과 어울리는 표정과 몸짓을 표현해 보세요.

4. 잘 표현해 보았나요?^^ 이번 엔 책을 보며 실감나게 읽어 볼게요. ‘토끼의 재판중 일부를 골라 실감나게 소리 내어 읽어 보세요.

3교시 국어

학습문제: 연극 준비하기 1 (290~291)

1. ‘토끼의 재판연극 발표회를 하려고 합니다.

2. 발표할 부분을 정하고, 필요한 소품을 만들어 봅시다.

1) 발표할 부분 : (정해 보세요)

2) 소품 만들기 여러분이 하고 싶은 등장인물의 머리띠를 만들어 봅시다.

- 준비물: 종이, 가위, , 색연필 또는 사인펜

도화지 또는 A4 용지에 꽉 차도록 등장인물의 얼굴을 스케치합니다.

색을 바르게 칠합니다.

가위로 적당히 오립니다. 조심해서 천천히 오리도록 합니다.

여러분 머리둘레에 맞게 종이를 적당한 크기로 자릅니다.

종이를 풀로 붙여 머리에 맞는 둥근 띠로 만들어요.

둥근 띠에 풀을 붙이고, 인물그림에 붙여 완성합니다.

3. 자신이 만든 인물의 말이나 행동, 인물의 성격, 표정, 몸짓, 말투는 어떠할지 생각해서 291(4)번에 써 보세요.

4교시 사회

학습문제: [단원복습 및 정리] 2.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2)

01 다음 도구의 쓰임새를 알맞게 설명한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동물의 뼈로 만든 낚시 도구

옷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짐승을 잡는 데 사용하였다.

불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였다.

물고기를 잡는 데 사용하였다.

02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도구의 쓰임새로 알맞은 것을 두 가지 고르시오. ( )

악기 장난감

장신구 제사를 지내는 도구

농사를 짓는 도구

03 다음 그림의 표 친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토기의 생김새와 같다.

철로 만들어진 도구이다.

생선이나 떡을 찔 때 사용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만들 수 있었다.

따뜻한 국물이 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었다.

04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도구를 쓰시오.

옛날 사람들은

()로 식물의 줄기를 꼬아서 실을 만들었습니다.

( )

05 다음 사진의 기와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두 가지 고르시오.

( )

기둥은 철근을 주로 사용하였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지붕을 바꾸지 않고 오래 살 수 있었다.

흙을 구워서 만든 기와로 지붕을 만들었다.

여러 층으로 만들어져서 많은 사람이 모여 살 수 있었다.

06 다음 중 명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에 모두 표 하시오.

(1)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은 성탄절입니다. ( )

(2) 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하는 날입니다. ( )

(3) 명절날 아침에는 조상들께 음식을 올리고 차례를 지냅니다. ( )

07 명절과 명절에 먹는 음식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설날 - 팥죽

동지 - 떡국

한식 - 찬 음식

추석 - 오곡밥

정월 대보름 송편

08 다음 중 동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입니까? ( )

더위가 시작되는 때이다.

일 년 중 밤이 가장 짧다.

나쁜 기운을 쫓는 풍속이 있었다.

국화로 술과 떡을 만들어 먹었다.

강강술래를 하며 풍년을 기원하였다.

정답 확인(클릭)

* 점심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5교시 사회

학습문제: [단원복습 및 정리]2.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3)

<돌로 만든 농사 도구와 철로 만든 농사 도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고, 생활 도구의 발달로 인한 생활 모습의 변화 이해하기>

1. 다음 농사 도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쓰시오.

돌괭이

철로 만든 괭이

공통점:

차이점:

2. 다음 생활 도구의 발달이 가져온 사람들의 생활 모습의 변화를 쓰시오.

가락바퀴

베틀

방직기

재봉틀

모범 답안(클릭)

6교시 창체

학습문제: 바르고 고운 말을 사용하여 바른 전화 예절 알아보기

다음 물음에 답하세요.

전화를 걸 때는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전화를 걸기 적당한 시간은 언제일까요?

전화를 잘못 걸었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공공장소에서는 전화를 어떻게 받아야 할까요?

영상을 통해 정답을 확인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SpxqxV0PT0o

다음 영상을 시청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IXGrISh8IR0

위 영상에서 잘못된 점은 무엇일까요?

- 웃어른과 전화할 때는 공손하고 예의 바르게 전화한다.

- 전화를 잘못 걸었을 때는 공손하게 사과한다.

전화를 걸 때 자기가 누구인지 용건이 무엇인지 밝히고, 예절 바르게 통화하도록 합니다.

전화도 일상 대화와 똑같습니다. 대화할 때의 예절을 그대로 지켜주어야 합니다. 또한 상대방의 얼굴이 보이지 않으니 더욱 조심해야겠지요?

오늘의 수업을 마칩니다. 책상 위를 정리하고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이전글 12월 31일 (목) 수업
다음글 12월 24일 (목) 수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