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3반

'목표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게' 개성을 존중하며 함께 걸어가는 우리 3학년 3반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들
  • 선생님 : 오승교
  • 학생수 : 남 13명 / 여 12명

10월 15일 (목) 수업

이름 오승교 등록일 20.10.15 조회수 172
첨부파일

* 다음 주 월요일부터 매일 학교에 등교합니다. 코로나가 더 이상 우리를 불편하게 하지 않도록 우리는 앞으로도 꾸준히 마스크를 착용하고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며 개인위생도 청결히 해야겠습니다.

* 바뀐 시간표를 안내해 드려요. 잊지 말고 다음 주 부터 아래의 시간표대로 책을 잘 챙겨오길 바랍니다.

3-3

국어

수학

수학

과학

수학

국어

사회

창체

창체

도덕

국어

사회

국어

국어

미술

사회

점심

미술

1교시 사회

학습문제: 음식과 옷을 만드는 도구의 변화로 달라진 사람들의 생활 모습 알아보기 (63~65)

1. 다음 노래를 따라 불러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2x2_ahF5E7U&feature=emb_logo

2. 사회 63~65쪽을 살펴보세요.

3. 옛날과 오늘날 사람들이 어떤 도구를 사용하여 음식과 옷을 만들었는지 생각해봅시다.

옛날: 음식을 만들 때 (ㄱㅁ), () 등을 사용했을 것이다.

오늘날: 음식을 만들 때 (ㅍㄹㅇ), (ㅁㅅ), (오븐) 등을 사용한다.

옛날: 옷을 만들 때 (ㅂㄴ)()로 옷을 만들었을 것이다.

오늘날: 옷을 만들 때 (ㅈㅂㅌ), (가위), (컴퓨터) 등을 사용한다.

4. 사회 63~65쪽을 살펴보고 음식 만드는 도구의 변화로 사람들의 달라진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

5. 음식을 만드는 도구는 어떻게 발달했나요?

- 토기 에서 시루로 발달했습니다.

- (ㄱㅁㅅ)에서 (ㅈㄱ밥솥)으로 발달했습니다.

토기: 토기에 물과 조개를 넣고 끓여서 (국물)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시루: 바닥의 구멍에 올라오는 뜨거운 김으로 음식을 () 먹었다.

가마솥: 무거운 (ㄸㄲ)을 덮어 솥 안의 뜨거운 김이 나가지 못하도록 막아 싹을 골고루 익혀 먹었다.

(ㅈㄱ)밥솥: 오늘날에는 (ㅈㄱ)밥솥으로 쉽고 빠르게 밥을 지어 먹는다.

6. 음식을 만드는 도구가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음식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hTepEhp7dvY&feature=emb_logo

7. 사회 63~65쪽을 보고 옷 만드는 도구의 변화로 사람들의 달라진 생활 모습을 알아봅시다.

8. 옷을 만드는 도구는 어떻게 발달했나요?

(ㄱㄹ바퀴) - (베틀) - (방직기) - (ㅈㅂ)

가락바퀴: 가락바퀴를 꽂은 막대기에 얇게 뜯은 식물의 줄기를 꼬아서 ()을 만들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ufXKmHQDJU&feature=emb_logo

베틀: 베틀에 실을 올려 놓고 서로 엮어서 (옷감)을 만들었다.

방직기: (기계)로 다양한 옷감을 빠르고 편리하게 만든다.

(ㅈㅂㅌ): 빠르고 정확하게 바느질을 할 수 있다.

9. 옷 만드는 도구가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 다양한 종류의 옷을 만들게 되었다.

- 방직기, 재봉틀과 같은 기계를 이용해 옷을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

정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9elBXpO7gs&feature=emb_logo

빈칸에 대한 답

2교시 수학

학습문제: (몇 십 몇)÷() 구하기 2 (교과서 40-41)

1. 달리기 줄 나누기

- 한 줄에 몇 명씩 서게 될지 어림해 보세요.

학생이 48명이니까 약 50으로 어림하고, 3줄로 나누어 달리려면 50명을 3으로 나누면 됩니다.

- 어떻게 구하면 되는지 식으로 나타내어 보세요. (48÷3)

2. 수모형으로 알아보기

- 48÷3을 수모형으로 계산하려고 해요. 수모형을 몇 개 놓아야 할까요?

십 모형 4, 일 모형 8

- 수모형을 세 묶음으로 똑같이 나누어 볼까요?

십 모형 4개 중 3개를 세 묶음에 하나씩 넣고 남은 십 모형 1개를 일 모형 10개로 바꾸어 일 모형 18개를 세 묶음에 6개씩 나누어 넣습니다. 그러면 각 묶음마다 16개가 됩니다.

3. 48÷3의 계산 원리 알아보기

- 세로로 계산하는 방법 알아보기

16

- 십의 자리 수 4에는 31번 들어가므로 몫의 십의 자리에 1을 씁니다.

- 십의 자리 수 4에서 3을 빼면 1이 남으므로 1을 내려 쓰고 일의 자리 수 8을 그대로 내려 씁니다.

- 18에는 36번 들어가므로 몫의 일의 자리에 6을 씁니다.

- 18 빼기 180이므로 0을 아래에 씁니다.

3

48

30

18

18

0

- 48÷3=16이므로 몫은 16입니다.

4. 주사위 네 번째 문제와 다섯 번째 문제 해결하기

5. 수학익힘책 30-31쪽 하기

6. 오늘 배운 내용 정리하기: 내림이 있고 나머지가 없는 (몇 십 몇)÷()

- https://www.youtube.com/watch?v=BLrFol-Rc3Y

3교시 미술

학습문제: 자유롭게 상상하고 상상화를 그려봅시다.

미술 52-53

1. 미술 52쪽을 보세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이야기를 알고 있나요?

이미 잘 알고 있는 친구도 있고, 잘 모르는 친구도 있을거예요.

영상으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이야기를 들어봅시다.

2.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나오는 세계에서 특이한 점을 이야기해 볼까요?

- 토끼가 시계를 보며 이야기를 하는 것

- 앨리스의 몸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것

- 트럼프 카드들이 병정들이 되는 것 등등

현실 세계와는 확실히 다른 세계라는 것을 알 수가 있지요?

만약 여러분이 이상한 나라의 주인공이 된다면 어떤 상상의 동물이나 사물을 만날 것 같나요?

또 만약 여러분이 병 속에 든 물을 마신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커다란 장롱 문을 열면 어떤 새로운 세상이 나타날까요?

3. 이번 단원에서는 상상력을 이용하여 여러 작품을 만들어 볼거예요.

먼저 미술 53쪽을 보세요.

<바다여행>이라는 그림이 보이나요?

사람이 입에 물고 있는 게 무엇인가요? , 빨대입니다.

이 그림은 빨대 모양을 보고 상상하여 그린 그림입니다.

4. 생각그물로 빨대 하면 생각나는 것들이 나와있지요?

생각그물에 여러분의 생각도 더 적어봅시다.

우리도 빨대 모양을 보고 생각난 것들로 상상화를 그려볼거예요.

5. 생각그물을 다 완성했다면, 85쪽의 활동지를 펴세요.

86쪽의 그림은 다음 주 미술시간에도 쓸 예정이니 뜯더라도 잘 보관해주세요.

준비물은~85쪽의 활동지와 연필, 지우개, 색연필, 사인펜입니다.

여러분의 상상력을 발휘해서 그림으로 85쪽을 채워봅시다.

그림을 그리고 어울리는 색깔로 색칠도 해주세요.

선생님의 예시 작품을 보여주겠습니다. 똑같이 그리는 것이 아니라, 참고만 하는 거예요.

빨대 상상화 예시?

다 그린 그림은 교과서에 잘 끼워놓으세요~

4교시 영어

9단원 Look & Say (p.102-103)

학습문제: 색을 묻고 이에 답하는 표현 말하기

https://youtu.be/5wOpNujiHc8

영상을 보며 큰 소리로 따라해 보세요.

영상은 한 번 이상 보아야 실력이 쑤욱 늘어나요.

여러분은 어떤 색깔을 좋아하나요?

가족들에 어떤 색을 좋아하는지 영어로 묻고 답해 보세요.

* 점심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5교시 국어

학습문제: 자신의 경험에서 인상 깊은 일을 글로 쓰는 방법 알아보기 1(102~104)

1. 1021번을 보세요. 서연이의 하루를 그림으로 표현해 놓았네요.

2. 그림 속 시간을 보며 서연이의 하루를 살펴봅시다.

3. 여러분의 하루와 서연이의 하루를 비교해 보세요. 같은 것은 무엇이고, 다른 것은 무엇인가요?

4. 서연이가 하루의 일 중 기억에 남는 것을 글로 쓰려고 해요. 여러분이 서연이라면 어떤 일을 글로 쓰고 싶나요?

5. 서연이는 동생이 아팠던 일을 쓰기로 했어요. 왜냐하면 평소에 자주 일어나는 흔한 일이 아니라 드물게 일어나는 특별한 일이니까요.

6. 쓸 내용은 어떻게 정리하면 될까요? 103(2)번에 잘 나와 있어요. 소리내어 읽어 보세요.

- 언제, 어디서, 누구와, 어떤 일이 있었는데 어떠어떠한 마음이 들었다. 이렇게 쓰면 되겠지요?

- ) 어제 방과후에 학교에서 친구들과 잡기놀이를 했는데, 내가 끝까지 살아남아서 너무너무 기뻤다.

7. 서연이가 인상 깊었던 일을 정리해서 썼대요. 104(3) ‘동생이 아파요를 읽어 보세요.

8. 다음 국어시간에 1053번을 하겠습니다.

6교시 과학

학습문제: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로봇 설계하기

과학 38~39, 실험관찰 20~21

1.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로봇에 대하여 조사해 봅시다.

https://terms.naver.com/

인터넷을 이용하여 위 링크를 접속한 후, ‘생체 모방 로봇을 검색해보세요.

동물의 특징을 활용한 로봇이 여러 가지 나온답니다.

2. 과학 38~39쪽을 먼저 스스로 읽어보세요. (2분 동안 읽어봅시다)

읽으면서 앞으로 어떤 활동을 해야하는지 파악해봅니다.

3. 실험관찰 20쪽을 펴보세요.

1번에 우리 생활에서 로봇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조사해 써 봅시다.

영상으로 선생님과 함께 공부해봅시다.

우리 생활 속 로봇 조사하기?

4. 이제 여러분이 직접 설계할 로봇의 종류를 써봅시다.

영상의 지시대로 따라하면 실험관찰 20쪽의 2~4번을 모두 해결할 수 있어요.

로봇 종류 정하기?

선생님의 예시를 보여줄게요.

(2) ‘동물 관찰 로봇을 설계하고 싶어요.

코로나19로 밖에 나가기가 어렵기도 하고, 가까이 다가가기가 어려운 동물들도 있어서 관찰이 어려웠거든요.

(3) 이 로봇에게 있어야 할 기능은

1) 울퉁불퉁하거나 좁은 틈에서도 다닐 수 있어야 하고,

2) 주변을 잘 볼 수 있어야 한다.

3) 동물을 관찰할 때에는 주변 동물의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는 거예요.

(4) 로봇에게 있어야 할 기능을 가진 동물은 거미, 잠자리, 카멜레온입니다.

거미처럼 좁은 틈도 다닐 수 있어야 하고, 장애물도 넘어다닐 수 있어야해요.

또 잠자리의 눈처럼 모든 방향을 볼 수 있어야 하고, 카멜레온처럼 몸을 숨길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에요.

4. 이제 실험관찰 21쪽의 5번에 로봇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봅시다.

로봇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그림으로 생김새를 그려주세요.

또 로봇의 생김새와 기능에 대해 글로 설명하면 됩니다.

(예시)

로봇

여러분이 어떤 로봇을 설계했을지 정말 궁금합니다.

등교한 날 선생님께 보여주세요~

오늘의 수업을 마칩니다. 책상 위를 정리하고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이전글 10월 16일 (금) 10시 화상수업 초대
다음글 10월 15일 (목) 10시 화상수업 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