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학년 3반

'목표는 같지만 내용은 다르게' 개성을 존중하며 함께 걸어가는 우리 3학년 3반입니다.

몸과 마음이 건강한 우리들
  • 선생님 : 오승교
  • 학생수 : 남 13명 / 여 12명

10월 8일 (목) 수업

이름 오승교 등록일 20.10.08 조회수 146

1교시 사회

학습문제: 자연에서 얻은 도구를 사용하던 옛날의 생활 모습 알아보기

질문에 대한 답을 잘 몰라도 자신 있게 해보세요. 맨 아래에 질문에 대한 답 링크 걸어놓을 테니 수업 맨 마지막에 링크 클릭해서 확인하세요.

1. 사회 50~51쪽의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세요.

2. 옛날 집에서 볼 수 있는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 부엌, 마루, , 대문 등입니다.

- 마당과 헛간이 있습니다.

3. 옛날 집은 무엇으로 지었나요?

- 기와, 지푸라기, 나무, , 돌 등으로 지었습니다.

4.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어떠한가요?

- 집에는 대가족이 모여 삽니다.

- 남자와 여자가 (같은/다른) 밥상에서 밥을 따로 먹고 있습니다.

- 를 이용해 농사를 짓고 있습니다.

- 아이들은 ㄱㄱ놀이와 ㅈㄱ차기를 하면서 놀고 있습니다.

- 을 타고 이동합니다.

5. 오늘날 집에서 볼 수 있는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 거실, , 유리창, 화장실, 주방 등을 볼 수 있습니다.

- 거실과 주방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 화장실이 집 (/)에 있습니다.

6. 오늘날 집은 무엇으로 지었나요?

- ㅅㅁㅌㅊㄱ 등으로 지었습니다.

7. 그림에서 볼 수 있는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어떠한가요?

- 거실에서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 (/)에서 씻고 있습니다.

- (/다른) 식탁에서 다 함께 밥을 먹고 있습니다.

- 아파트 공터에서 운동하거나 놀고 있습니다.

- 어른들은 ㅈㄷㅊ를 타고 출근하고 있습니다.

8. 사회 52쪽을 살펴보세요.

9. 여러분이 알고 있는 명절에는 무엇 무엇이 있나요?

- ㅅㄴㅊㅅ입니다.

10. 옛날 사람들은 명절에 무엇을 했나요?

- 설날(음력 11)에는 세놀이를 했습니다.

- 정월 대보름(음력 115)에는 쥐불놀이를 했습니다. 쥐불놀이 동영상 보기

- 한식(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에는 성묘를 하고, 초파일에는 연등 행사를 했습니다.

- 단오(음력 55)에는 그네 타기와 씨름을 하고, 삼복에는 닭백숙을 먹었습니다.

- 추석(음력 815)에는 송을 만들어 먹고, ㄱㄱㅅㄹ를 했습니다.

- 동지(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 올해는 1221)에는 ㅍㅈ을 먹었습니다.

11. 사회 50~91쪽을 빠르게 훑어보세요.

12. 훑어본 것을 바탕으로 53쪽의 생각 그물을 완성해보세요.

13. 다 완성한 친구는 사회 53쪽 아래 표를 완성해보세요.

(힌트: 사회54, 사회76)

- 예시 및 답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다 완성하고 나서 보세요^^

14. 사회 54쪽을 펴세요.

구석기인의 하루

15. 옛날 사람들은 어떤 옷을 만들어 입고 살았을까요?

- 동물의 ㄱㅈ이나 풀잎으로 옷을 만들어 입었습니다.

16.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나요?

- 동물을 ㅅㄴ하거나 식물의 열매나 뿌리를 채집해 먹을거리를 얻었습니다.

- 에 직접 음식을 구워 먹었습니다.

- 나무나 날카롭게 ㄲㄸ린 돌을 도구로 사용했습니다.

- ㄷㄱ이나 바위 그늘에서 추위를 견디거나 동물들의 공격을 피하면서 살았습니다.

17. 사회 55쪽을 보세요.

신석기 시대

18. 시간이 흐른 뒤 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나요?

- 사람들은 먹을거리가 풍부한 가나 ㅎㅇ가에 모여 살았습니다.

- 음식을 ㅌㄱ에 담아 보관했습니다.

19. 먹을거리를 구하는 모습이 이전과 어떻게 달라졌나요?

- ㄴㅅ를 지어 곡식을 얻었습니다.

- ㄴㅅ 도구로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20. 나무로 만든 도구보다 돌로 만든 도구의 좋은점은 무엇일까요?

- 로 만든 도구는 ㄴㅁ로 만든 도구보다 ㅌㅌ합니다.

21. 돌로 도구를 만드는 모습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 도구를 만들 때 돌을 ㄲㄸ리지 않고 아서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22. 사회 56쪽을 보세요.

23.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은 오늘날 어디에서 엿볼 수 있나요?

- ㅂㅁ관이나 유적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24. 박물관이나 유적지를 견학하면 무엇이 좋을까요?

- 실제 ㅇㅁ의 생생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 ㅇㄴ 사람들의 ㅅㅎ 모습을 더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 박물관이나 ㅇㅈㅈ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ㅊㅎ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사회53쪽 예시와 답입니다. 다 완성한 사람만 보세요^^]

예시)

질문에 대한 답(질문에 자신있게 대답했던 사람들은 클릭하세요.)

영상으로 정리(1)

2교시 수학

학습문제: (몇 십)÷() 구하기 (교과서 32-35)

<마음열기> 나눗셈의 기초

- https://youtu.be/DqG5_vmZ5vY

1. 선수학습 내용 살펴보기: 수학익힘책 23쪽 하기

2. 그림 속 상황 살펴보기: 교과서 32-33

들려줄 이야기-“도영이의 지난 일주일

월요일에 색종이로 종이접기를 했다고 해요. 알록달록 색종이를 이용하여 도영이가 한 종이접기가 멋지네요.

화요일 미술시간에는 자기가 상상한 동물을 고무찰흙으로 만들었어요. 도영이는 해태라는 상상 속의 동물을 만들었어요.

수요일은 도영이가 좋아하는 과학시간이 있었다고 해요. 과학시간에는 선생님이 동물카드를 똑같이 나누어 주셔서 동물을 관찰하고 분류해 보았어요.

목요일 음악시간에는 친구들과 같이 재미있게 리코더를 연주했어요. 그동안 연습을 많이 해서 즐거운 연주였어요.

금요일에는 체육대회를 했어요. 달리기도 하고 콩 주머니로 박 터트리기도 하고 즐거운 한 주였다고 하네요.

3. 공부할 내용 살펴보기

- 일상생활에서 어떤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눗셈을 이용하여 똑같이 나누어 줍니다.)

<교과서 34-35>

4. 색종이를 똑같이 나누기

- 색종이 60장을 3명이 똑같이 나누어 가지려고 합니다. 한 명이 색종이를 몇 장씩 가질 수 있을까요? (60÷3하면 되겠지요.)

- 6÷3을 이용하여 60÷3의 몫을 계산할 수 있을까요? (. 60을 십 모형 6개로 생각하면 6÷3이므로 이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5. 주사위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문제 해결하기

6. 수학익힘책 24-25쪽 하기

7. 오늘 배운 내용 정리하기: 내림이 없는 (몇 십)÷()

- https://www.youtube.com/watch?v=_BN82vswAVQ

3교시 미술

학습문제: 우리 주변에서 미술 찾아보기

오늘은 우리 주변에서 미술을 찾아봅시다.

우리 주변 어디에 미술이 숨어있을까요?

먼저 영상으로 생각을 넓혀봅시다.

예술, 안 어려워요 - 생활 속 미술

https://www.youtube-nocookie.com/embed/k9bsbV8tp80

어떤가요? 생각보다 미술이 우리 생활 속 가까운 곳에 있었지요?

여러분 주변에서 미술을 찾아서 사진을 찍어봅시다.

그리고 멋진 미술을 찾았다면 선생님께 보내주세요.

이번에는 공책이나 연습장을 꺼내보세요.

가운데 우리 동네라고 적어봅니다. 생각 그물을 만들어 볼 거예요.

이제 생각그물은 다 익숙하지요?

우리 동네하면 떠오르는 것들을 다 적어보세요.

영상을 봅니다.

https://www.youtube-nocookie.com/embed/KJYVqzohqLU?rel=0

https://www.youtube-nocookie.com/embed/zdPFqrROooA?rel=0

어떤가요? 정말 독특하고 멋진 건축물이 많네요.

우리 동네의 건축물이나 시설물 중에서 여러분이 바꾸고 싶은 것들을 생각해봅시다.

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해보세요.

공책이나 연습장의 생각그물 아래에 작품을 구상해봅시다.

4교시 영어

학습문제: 색을 묻고 이에 답하는 표현 알기

9단원 시작해 볼까요?

p.98-101

https://youtu.be/qRyWWec6x-c

영상은 한 번 이상 보아야 실력이 쑤욱 늘어나요.

아래의 학습지를 출력하여 더 공부해 보세요.(8단원 복습)

-출력을 할 수 없으면 영어 공책에 써도 좋아요.

Lesson 8

낱말 읽기쓰기 워크시트

Read and Write

* 점심을 먹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5교시 국어

학습문제: 글을 읽고 중심 생각 찾기 2 (국어 가 87~89)

1. 지난 시간에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을 읽었습니다. 문단은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지요(1학기 때 배웠어요). 각 문단의 중심 문장을 찾아 87(1)에 써 봅시다.

2. 1문단은 계절별로 날씨와 관련된 토박이말을 알아보자고 했어요.

3. 2문단부터 5문단까지는 봄부터 겨울까지의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을 설명하고 있으니 중심문장은 각 계절의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에는 무엇무엇이 있다.‘ 는 식으로 쓰면 되겠지요?

4. 6문단은 계절에 따라 알고 쓰면 좋은 토박이말이 많다가 중심 문장이겠네요.

5. 87쪽 맨 아래의 (2)를 볼까요? 글의 제목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을 보고 글쓴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어떤 말을 하고 싶을까요?

-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이 많습니다. 이런 토박이말들도 알고 잘 사용하면 좋겠습니다. (이렇게 예상할 수 있겠지요? 그리고 글의 마지막 문단에 글쓴이의 생각이 나타나 있네요.)

6. 88(3) 이 글의 중심 생각을 한 문장으로 써 볼까요? 글의 마지막 문단에 글쓴이의 생각이 있어요.

-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이 많이 있으니 이를 알고 잘 사용하자.

-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날씨를 나타내는 토박이말을 많이 사용하자 등.

7. 4번의 (1)을 봅시다. 각 계절과 관련 있는 낱말을 보기에서 찾아 봄, 여름, 가을, 겨울 칸에 써 보세요. 잘 모르겠는 친구는 앞의 2~5문단을 보고 찾아보세요.

8. (2) 계절과 관련 있는 낱말을 사용해 문장 하나를 만들어 보세요.

- 올해 봄엔 꽃샘추위가 없어서 좋아.

- 여름의 무더위가 지나고 시원한 가을이 왔어요.

- 올 겨울엔 함박눈을 많이 보면 좋겠네. (할 수 있겠지요? 문장을 만들어 보세요)

9. 895번을 읽고 해결해 보세요.

6교시 과학

과학 32~33, 실험관찰 17

학습문제 : 물에는 어떤 동물이 살까요?

1. 강이나 호수, 바다에서 동물을 본 경험이 있나요?

계곡에 가서 다슬기를 보거나 물 위에서 움직이는 소금쟁이,

개구리가 헤엄치는 모습, 물속의 작은 물고기 등을 본 적 있는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또 바닷가에서 물고기나 조개 등을 본 친구도 있을 거고요.

이번 시간에는 물에는 어떤 동물이 사는지 알아봅시다.

2. 과학 32~33쪽을 펴보세요. 아래쪽에 물에서 사는 동물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띠지로 강이나 호수, 바다에 사는 동물들이 나와 있으니 한 번 자세히 살펴보세요.

3. 물에서 사는 동물 중, 금붕어를 관찰하여 관찰 기록장에 기록해봅시다.

(관찰기록장은 실험관찰 73쪽에 있어요)

영상으로 한 번 같이 관찰해봅시다.

금붕어 관찰하기?

4. 이제는 강과 호수, 바다에서 사는 동물의 특징을 알아보고, 실험관찰 17쪽에 정리해봅시다.

직접 조사하고 싶은 친구는 아래 링크를 이용해보세요.

네이버 동물백과 : 동물의 특징을 검색해보세요.

물에 사는 동물의 특징 알아보기?

5. 붕어와 같은 물고기가 물속에서 생활하기에 알맞은 점은 무엇일까요?

(실험관찰 17-더 생각해 볼까요?)

-지느러미가 있어서 물속에서 헤엄을 잘 칠 수 있다.

아가미가 있어서 물 속에서 숨을 쉴 수 있다.

몸이 부드러운 곡선형태라서 물속에서 빨리 헤엄쳐 이동할 수 있다.

물고기의 생김새와 이동 방법과 관련이 있네요~

지난 시간의 사막에서 사는 동물들의 특징처럼, 물에서 사는 동물들은

물속에서 사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오늘 배운 내용을 영상으로 정리해 봅시다.

영상으로 정리하기

오늘의 수업을 마칩니다. 책상 위를 정리하고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

 

이전글 10월 14일 (수) 10시 화상수업 초대
다음글 10월 8일 (목) 화상수업 초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