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됐니 예준아? |
|||||
---|---|---|---|---|---|
이름 | 조성진 | 등록일 | 16.05.11 | 조회수 | 42 |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소
영양소란 식품의 성분 중 몸에서 영양적인 작용을 하는 유효 성분으로 우리 몸을 만들고 에너지를 제공하며, 몸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우리가 식품을 먹는 것은 건강의 모든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로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3대 영양소와 비타민, 무기질 그리고 물 등을 합한 6대 영양소가 있으며, 이것들을 골고루 섭취해야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양소
1) 지방 지방은 몸에서 힘을 내고 체온을 유지시켜 준다. 뇌의 65퍼센트를 구성하므로 어린이들에게 아주 중요하다, 주로 기름, 땅콩, 호두 등에 많이 들어 있다.
2) 칼슘 칼슘은 뼈와 이를 튼튼하게 해 주고, 적게 먹으면 뼈가 약해져서 잘 자라지 못하고 산만해진다.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에 많이 들어 있다.
3) 단백질 단백질은 피와 살을 만들어 준다. 또한 병을 이겨내는 힘을 길러 주므로 단백질이 부족하면 잘 자랄 수 없다. 주로 고기, 생선, 콩, 계란, 두부 등에 많이 들어 있다.
4) 비타민과 무기질 비타민과 무기질은 몸의 각 부분이 일을 잘 하게 도와준다. 부족하면 쉽게 피곤하고 병에 잘 걸리게 된다. 채소, 과일, 버섯 등에 많이 들어 있다.
5)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우리 몸이 움직이는 데 필요한 힘을 내게 해 준다. 부족하면 몸무게가 줄고 몸이 약해질 수 있다. 밥, 빵, 고구마, 감자, 떡, 국수 등에 많이 들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와 건강한 음식
곤충의 영양소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곤충과 동물의 영양소 비교 사진출처 : 농촌진흥청
그 밖의 곤충
밀웜 : 단백질 28.2g, 탄수화물 35.5g 바퀴벌레 : 단백질 40%, 탄수화물 20%, 지방 10%
식용 곤충 원료 식품의 장점은 2050년경 식량 수요가 지금의 2배정도 증가할 것에 대비할 것에 대비한 미래 대체 식량으로 곤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곤충이 미래식량이 돼는이유는 곤충은 키우기가 쉬워요. 먹을수 있을때까지 걸리는 시간도 매우적죠. 게다가 영양분이 소고기 돼지고기 이런것보다 훨씬 좋아요.적은양으로도 많은 에너지를 얻을수있죠. 적은공간에서 적은 시간으로 많은 영양분을 얻을수있기때문에 곤충이 미래식량으로 곽광받고있어서이다 영양소란 신체의 성장과 건강의 유지, 증진 등 정상적인 생리기능을 영위하기 위해서 섭취해야 하는 영양성분을 말한다(채범석, 1998).
- 인체를 구성하는 수많은 영양소 중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체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양소들이다. 그중 단백질은 세 가지 영양소 중 가장 중요한 영양소로 인간의 주요 에너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 단백질이 다른 필수영양소와 다른 점은 탄수화물 또는 지방은 단백질로 변환이 불가능하지만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로 변환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 다시 말해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의 섭취를 통해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인간의 생명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절대적인 영양소라는 것이다(한국식품과학회, 2004).
- 현재 인류의 단백질원 중 대부분은 육류 또는 어류에서 그 섭취가 이루어진다.
- 그러나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세계인구와 그에 따른 단백질 소비증가는 육류 식품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
- UN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단백질 공급을 위한 육류, 조류 사육으로 지구 전체 농토 중 1/3 이상이 불모지에 가까운 토지로 변하며 어류의 70%이상이 멸종할 수 있다고 한다(UN, 2010).
- 단백질원의 부족과 생산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가 점차 심화됨에 따라 선진국과 UN, FAO 등의 국제 NGO 기관들을 중심으로 육류와 생선의 단백질 함유량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 식품을 찾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양의 개체수를 생산할 수 있으며, 영양성분 또한 육류 또는 어류와 비슷하거나 더 많은 함량을 포함하고 있는 곤충이 새로운 대체식품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FAO, 2013).
육류단백질과 곤충 단백질의 비교
(The comparison chart between Animal based protein and Insect based Protein)
※ 소고기와 비교하여 단백질 함량이 3배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곤충은 사람이 활동하는데 있어 필수 영양소인 단백질 외 탄수화물, 불포화지방산, 비타민, 무기질 등의 함량이 풍부하기 때문에 새로운 단백질 식품으로써 사용이 용이하다.
- 대표적인 육류단백질원인 소고기는 100g당 20.8g의 단백질과 6.3g의 지방을 함유하고있으며 0.2g의 탄수화물과 148kcal의 열량을 낼수있지만 같은 중량으로 건조시킨 꽃무지애벌래는 57.86g의 단백질과 16.57g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으며 10.56g의 탄수화물과 422.81kcal를 포함하고 있어 소고기와 비교해 2배이상 단백질함량이 높고 포화지방함유량은 낮아 영양적인 측면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 식재료임을 알 수 있다
(농촌진흥청, 2014; Ramos-Elorduy, and co-workers, 1997).
곤충분류별 평균 단백질 함량
(Average Protein content by Insect Taxonomic order)
출처: FAO, (2013),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자료를 토대로 저자가 재구성하였음
식용곤충의 약용적 가치(Medicinal Values of Edible Insects)
- 곤충이 정확히 언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동·서양의 고문헌과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의 종교 문헌에 다수 기록되어 있다.
- 중국은 오래전부터 곤충의 식용 및 약용이 일반적인 국가로서, 그 역사가 무려 3000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조금 혐호스럼기는 하지만 파리 유충과 쇠똥구리 입니다. 이 곤충들은 지렁이보다 무려10배나 빠르게 쓰레기를 먹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쓰래기를 분해하는 미생물도 있습니다. (FAO, 2013).
- 중국 명(明)나라 시대의 이시진이 저술한 의서(醫書), 《본초강목(1596년)》과 조선시대의 허준이 저술한 《동의보감》에서는 각각 106종과 95종의 곤충이 가진 효능이 기록되어 있으며 질병 치료나 건강유지를 위한 민간약재로 곤충이 사용되어졌던 기록이 남아있다
(남중희, 2000)
곤충의 한의학적, 양의학적 효능
(The Medical effect of Insects in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출처 : 여러나라 곤충의 자원화와 그 이용. (2000) 자료를 토대로 재구성하였음
- 곤충이 함유하고 있는 풍부한 무기질과 지방산, 아미노산 등의 함유량은 육류단백질에서는 찾아볼 수 없거나 소량만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그 영양학적, 식의학적 효능의 가치가 탁월하다고 할 수 있다.
- 또한 인간이 화학적 방법을 통해 인위적으로 만든 영양성분이 아닌 자연에서 얻은 영양성분이기에 섭취 시 인체에 위해하지 않다. 라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곤충은 가축에 비해 사육면적이 좁아 토지이용률이 높고, 한 번에 수십 개에서 수백개의 알을 낳으며, 3개월 정도의 짧은 생활사로 1년에 4차례 정도 새로운 세대가 나와 생산성이 높아 미래 대체 식량이 가능합니다.
또한 1kg 생산시 필요한 사료가 육류에 비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고단백 고불포화지방산으로 영양적 가치가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 수산물 남획과 기후 변화, 물 부족 등으로 식량의 양적, 질적 저하로 인한 기아 발생이 우려되고 있는데 곤충식량은 물고기에 비해 단백질과 몸에 좋은 지방이 풍부하고 칼슘과 철, 아연 등 무기질 함량이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식량으로 곤충의 장점
곤충의 단백질 함량은 60%로 육류에 비해 상당히 높습니다.
또한 몸에 좋은 리놀레산과 올레산 같은 불포화지방산외에도 찰과 아연 등의 미네랄과 비타민 식이섬유까지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가축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지구 전체 발생량의 18% 이상을 차지하는데 갈색거저리의 경우 1kg당 돼지의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곤충은 친환경적이며, 사료 및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입니다.
더욱이 곤충은 1년에 여러 번 세대가 순환되므로 빠른 기간에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식량의 안적적 확보와 단백질 부족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 쇠고기와 밀원의 단백칠과 철분 비교 -
단백질 철분
쇠고기 27.4g 3.5mg
밀웜 28.2g 35.5mg
자료 해석 : 위자료를 통해 밀워머이 쇠고기보다 단백질은 0.8g, 철분은 32mg이 더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전글 | 우리말사용 실태조사 1모둠 (1) |
---|---|
다음글 | 식용곤충의 장점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