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성중학교 로고이미지

박지영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귀향
작성자 박지영 등록일 17.11.28 조회수 12
 귀향이라는 영화는 실제 위안부에 대해서 만들어진 영화이다.귀향은 고향으로 돌아오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이것은 위안부 할머님들께서 일본군들에게서 자신의 집으로 돌아오다라는 뜻을로 짐작된다.나는 위안부에 관심이 정말 많다.위안부란  요약하자면 일본 제국주의 점령기에 일본에 의해 군위안소로 끌려가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들을 말한다.위안부 할머님들께서는 1930년대부터 1945년 일본이 패망하기 전까지 강제로 전선을로 끌려가 일본 군인들의 성노예로 인권을 유린당하였으며,전후에도 육체적 정신적 고통으로 힘겨운 생활을 견뎌 내시고 있다.그리고 위안부 할머님들 께서는 평생 동안 임신을 할 수가 없었다라고 말하셨다.나도 그말의 뜻이 궁금하여서 찾아보았더니 이유가 처참하였다.위안부 할머님들께서는 일본군들과의 지속적인 성관계로 생리를 못하게 강제로 난소 제거 수술을 해버렸다는 방송에도 나온 위안부 할머님들이 진술한 내용이다.그리고 위안부할머님들을 강제로 성노에를 시킨 일본군들은 위안부할머님들이 성병에 걸리거나 죽을 병에 걸리게 된다면 그냥 사람을 버려 버렸다고 한다.일본이 태평양 전쟁에서 패하기 전에는 증거인멸을 위하여 위안부분들을 전부 다 죽이려고고 하였다.그런데 여기서 더 말도 안되는 것은 아직도 일본 정부그리고 총리등등 한테서 진심이 담기고 성의가 있는 사과 한마디조차 들어보지 못한 것 이다.정말 단 한마디만 해주면 될텐데.위안부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위안부 서명운동에도 참여를 하고, 기부팔찌도 샀다.하지만 그뿐이였다.우리가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하여 해드릴 수 있는 것은 별로 많지 않았다.그래서 한편으로는 속상했다.나는 처음에는 그냥 일본을 정말 싫어했었다.그냥 별 이유도 없이 말이다.나도 일본에 대하여 관심이 많다.하지만 위안부문제와 독도문제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짚고 나가고 싶다.나중에 후손들이 위안부를 모르고 독도가 일본의 땅이라고 알고 있으면, 우리나라의 역사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그저 기억해주고 관심을 가져주고 적극적이게 참여 해주면 좋겠다.그러면 조금이나마 도움은 될 것이라규 생각한다.나는 귀향이라는 영화가 나오자 마자 볼 것이라고 다짐했다.그래서 보게 되었다.너무도 슬펐다.우리나라가 일본에게 제압을 받았을 당시에, 아무 죄도 없는 우리나라의 소녀들이 일본군에게 끌려가 성폭행을 당했다는 것이 너무나도 처참했고 비극적이였다.이 영화를 보고 감히 평점을 낼 수도 없다고 생각했다.이 영화는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꼭 한번쯤은 귀한시간을 비우고 이 영화를 꼭 보았으면 좋겠다.사실 이 영화를 보기 전까지만 해도 위안부 할머님들께서 어떤 시간을 보내 오셨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였다.너무나도 슬펐다.거의 대성통곡을 했다.이 영화는 위안부 할머님들의 실제 증언을 듣고 만들어진 영화이다 보니 너무나도 비참한 것이 옳은 일 이였다.영화를 보다보면 한 소녀가 노래를 부르는데 너무나도 고운 목소리를 가져서 보는 내내 행복했다.이런 슬프고 비극적임 영화를 보고 일본인들은 그저 야하다라고 말햇다고 한다.그 말에 내 기분은 몹시 않좋아 졌다.이 영화는 일본인들에게는 그저 야한 영화로 보인다는 것이 너무나도 슬펐다.이 영화는 야한것이아니라 슬프고 안타까운 영화인데도 말이다.이 모든일이 일본만 잘못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우리나라 사람들도 처음에는  위안부 할머님들을 보는 관점이 좋지 않았다.위안부 할머님들한테 몸을 판게 자랑이냐고 비아냥 거리는 식으로도 말을 했다.이럴때는 않좋은 시선으로 보는 것 보다는 위로를 해주고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훨씬 낳다고 생각한다.적어도 관심은 가져줬으면 한다.앞으로 위안부 할머님들께서 이세상에 남아계실 날이 몇 안남았다.우리 모두들이 협력을 하여서 일본한테서 진심어리고 정성이담긴 사과를 받게 노력을 하자.사람이 진짜로 죽는 날은 바로 누군가한테서 잊혀지는 것이 진짜로 죽는 것이라고 알고있다.이처럼 우리 모두가 위안부할머님들을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서 우리나라의 역사를 잊혀지게 하지않고 후손들한테서 잊혀지지 않게 하고 싶다.그리고 위안부라는 뜻은 위로하느다는 뜻으로 쓰여지기 때문에 앞으로는 위안부대신에 성노예가더 올바른 표현이라고 생각된다.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가져주었으면 좋겠다.이상으로 절대 잊혀져선 안되는 귀향이라는 영화를 보고 쓴 감상문을 마치겠습니다.
이전글 모두를 위한 페미니즘
다음글 나뭇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