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춘중학교 로고이미지

공지사항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서해 수호의 날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1.03.22 조회수 321

. 목적 및 기본방침

목 적

서해수호의 날은 제2연평해전.천안함 피격.연평도 포격 도발로 희생된 서해수호 55용사추모하고, 범국민 안보의식을 북돋우며, 국토수호 결의를 다지는 정부기념일로서

희생과 헌신으로 나라를 지킨 분들의 명예 선양하고, 국난극복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국민의 힘을 하나로 모으는 행사로 거행하고자 함

기본 방침

올해는 서해수호의 날(3월 넷째 금요일)이 제정된 지 제6회째를 맞는 해임 * 천안함 피격일(3.26)과 같은 날 행사가 열림

중앙기념식전사자 추모와 함께 국민에게 든든한 호국 의지를 보여주는 행사로 준비하되, 코로나19 추이를 고려하여 방역을 철저히 하고, 전사자 유가족과 참전장병, 정부주요인사 등으로 초청범위 제한

지방기념식은 지역별 코로나19 확산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하되, 가급적 광역시도 및 시..구별 지방자치단체 등과 공동 주관하여 실외 행사로 실시

계기행사로, 서해55용사 추모사진전, 사이버 추모관 온라인 참배, 각급 학교별 온라인 문예활동 SNS를 통해 작지만 의미 있는 행사로 안전하게 추진

. 기념식 추진계획

중앙기념식326일 금요일,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보훈처 주관으로 거행(시간.장소 미정)

* 초청대상 : 전사자 유가족, 참전장병, 정당대표, 정부주요인사

주요내용

<식 순>

개식 국민의례 전사자 롤콜 헌정연주 기념사

기념공연 폐식 * 식전식후 서해수호 55용사 참배행사 실시

- (국민에게는) 애국심을 고양하여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하고

- (유족에게는) 슬픔을 넘어 국가를 위한 희생을 자랑스럽게 느끼게 하며

- (국군에게는) 강한 안보로 평화수호의지를 다지고 사기를 진작하는 행사로 거행

지방기념식은 지자체장(또는 기관장) 판단 하에 실시하되, 가급적 실내 다중운집행사는 자제하고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하여 실외 개최하거나 온라인 추모식 등으로 대체 실시

계기행사는 보훈관서, 군부대, 각급 학교 등 의미 있게 추진

전사자 출신학교 및 부대별 특별사진전, 추모엽서 및 감사편지 쓰기 행사 등 각 기관 실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실시

. 주요 협조사항

주요 도로변 가로기 게양 (관할 지방자치단체)

기 간 : 2021. 3. 19.() 3. 26.(), 1주일간

장 소 : 각 지역 행사장 주변 도로

현판 . 홍보탑 . 현수막 설치 (각 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기 간 : 2021. 3. 15.() 3. 26.(), 2주일간

장 소 : 육교(현판), 건물외벽 및 주요지점

문 안

3월 넷째 금요일은 서해수호의 날

기 관 명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중계방송 (방송통신위원회)

내 용 : 지상파 방송3사 및 종편.케이블TV 등 행사 중계

지방 및 계기행사 (지방자치단체, 보훈관서, 교육청, 각급학교)

일 시 : 서해수호의 날 전후

내 용

- 가급적 지자체와 보훈관서 공동주관으로 하되,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신축적으로 판단

- 서해수호 특별사진전, 온라인 백일장 등 안전하게 추진

붙임1

기관별 세부 협조사항

부 처 별

협 업 내 용

협조기관

각 부처

.

(공통)

다중운집행사는 가급적 자제

서해수호의 날 홍보 추진(중앙 및 지방)

특별사진전 등 관련행사 지원 및 협조

서해수호의 날 전광판 자막 표출(주요목, 지하철 등)

청사 외벽 등 현수막 및 홍보배너 설치

서해수호의 날 계기행사 지원 협조

소속 공공기관

교 육 부

서해수호 추모 백일장 등 문예활동 자율 실시

전사자 출신학교별 추모사진전 등 권장

.도교육청

각 급 학교

국 방 부

군장병 대상 기념식 중계방송 시청 권장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행사요원 지원 및 명단제출

(군악대, 의장대, 성악병, 예포 등)

각 군본부

해당부서

방송통신

위원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실황중계 협조

뉴스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서해수호의 날 홍보

방송3사 및

종편방송 등

지 자 체

가로기 게양, 현판·현수막 등 홍보물 설치(허가)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 및 관련 방역 등 지원

,,

소 방 청

화재.긴급환자 발생 시 출동 및 응급조치

관할소방서

경 찰 청

서해수호의 날 행사장 경호.경비.교통 관리

- 행사장 입구 검색대 설치 및 운영, 외곽 경계.경비

서해수호 유족 수송버스 선도 등

관할지방경찰청

경찰서

붙임2

서해수호 3개 사건 개요

2연평해전

2002.6.29. 0954, 북한경비정 2척이 NLL을 침범, 1025분우리 고속정 참수리-357호정에 대해 기습공격을 감행, 31분간 교전발생

ㅇ 정장 윤영하 소령을 비롯한 4명은 현장에서 전사*하고, 참수리-357호는 예인 중 기관실 천공으로 침몰(북한 경비정은 화염에 휩싸인 채 1056분 퇴각)

* 정장 윤영하 소령, 병기사 조천형황도현 중사, 내연사 서후원 중사

조타장 한상국 중사(’15년 상사 추서)는 실종 41(’02.8.9.)만에 침몰된 참수리호에서 인양

* 참수리호는 침몰 53(‘02.8.21.) 만에 인양

ㅇ 의무병 박동혁 병장은 수도병원으로 후송되어 투병 중 83(’02.9.20.)만에 전사

천안함 피격

2010.3.26. 2122, 백령도 서남방에서 북한 어뢰공격

2010.3.26. 2128, 천안함 함미 완전 침몰

2010.3.26. 2313, 승조원 104명 중 58명 구조(46명 실종)

2010.3.30. 해군 특수전여단 한주호 준위 탐색작전 중 전사

2010.4. 4. 실종자 구조.수색작전에서 함체 인양작전*으로 전환

* 함미(4.15.)인양, 함수(4.24.)인양

2010.4.29. 천안함 46용사 합동 영결.안장식 거행

* 전사 46명 중 시신 수습 40, 미수습 6(이창기 준위, 최한권 원사, 박경수 상사, 장진선 중사, 강태민 상병, 정태준 일병)

연평도 포격도발

2010.11.23. 1434분 적의 기습 방사포 사격, 1541분까지 교전

- 아군은 자주포 3문으로 14471차 대응사격 개시(50)

- 1511분부터 적의 2차 포격 시작, 1525분 아군은 자주포 4으로 2차 대응사격(30)

- 1541분까지 적과 교전이 있었으며, 이후 소강상태 유지

서정우 하사, 휴가차 인천으로 향하는 여객선 탑승 중 적의 포격을 인지하고, 부대로 복귀 중 적의 포탄에 전사

문광욱 일병, 파편상으로 전사

해병대 관사 신축공사 중이던 민간인 2명 사망(김치백, 배복철)

 

이전글 2021.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평가 기준
다음글 2021. 방과후학교 개인위탁 외부강사(미용반) 모집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