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이란 무엇일까요? |
|||||
---|---|---|---|---|---|
작성자 | 박은숙 | 등록일 | 11.07.05 | 조회수 | 216 |
결 핵
결핵이란 결핵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감소추세였으나,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만연 등으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교에서는 고등부 2,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흉부 X-선촬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검사로 폐결핵, 척추만곡증, 심장비대 등의 질병을 찾아내며, 검사결과 결핵 양성자, 요 관찰자에 대해서는 지역보건소에 등록하여 정밀검진실시 및 학부모와 연계하여 지도하게 됩니다. 검사비용은 전액 학교부담으로 실시하게 되며 검사결과는 학부모에게 통지하고, 학생 개인별 건강지도 자료로 활용됩니다.
■ 결핵이란?
1. 감염 치료를 받지 않은 객담도말 양성 환자가 주요 감염원이 된다. 환자가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성되는 비말의 흡입을 통해서 감염된다. 환자와 긴밀한 접촉을 지속적으로 한 경우의 감염률은 보통 25∼50%이다. 균 양성 환자라도 화학요법을 시작하면 감염력은 급격히 없어져서 보통 치료시작 후 2주 후에는 감염력이 없어진다.
2. 임상증상 초기 감염 당시에는 대부분은 무증상이고 소수에서 불쾌감, 발열 등의 전신증상이 있으나 경미하다. 드물게 결절성 홍반, 소수포성 결막염 등의 알레르기 증상도 나타난다. 그러나 상당히 진행할 때까지도 전혀 증상이 없다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증상은 크게 전신적인 증상과 호흡기 증상으로 나룰 수 있다. 전신증상은 발열, 식은 땀, 피로감, 식욕부진, 완만한 체중감소 등으로 서서히 발생한다. 호흡기 증상은 기침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처음에는 마른기침으로 시작하지만 곧 객담이 나오고 때로는 혈담도 보인다. 객혈은 대개 소량이며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3. 진단 (1) 일반적 사항 1) 기왕력〔결핵의 과거력 유무, 결핵감염기회(가족력, 생활환경)의 유무〕, 현 병력 2) 폐결핵을 의심하게 하는 경우 ① 체중감소, 권태감, 피로감 등 막연한 자각증 ② 감기와 같은 증상의 반복 ③ 만성 기침과 가래 (3주 이상) ④ 혈담 ⑤ 불명의 발열 ⑥ 다른 부위의 결핵 (2) 흉부 X선 진단 - 무자각증의 폐결핵 환자를 발견하는 데는 매우 유익한 검사이며, 여기에는 직접촬영 ·간접촬영 ·단층촬영 등의 방법이 있다 (3) 세균학적 진단 ① 객담도말검사 : 가장 간단하고 신속한 방법이다. ② 배양검사 : 활동성 결핵을 확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4. 예방 결핵의 예방은 객담 속에 결핵균을 배출하는 개방성 환자(開放性患者)를 격리하는 것이 감염을 방지하는 첫째 요건이 되지만, 무자각성(無自覺性)이 많으므로 완전한 환자격리는 어렵다. 따라서 감염이 되어도 발병하지 않도록 몸을 건강하게 하고 영양섭취를 잘해서 자연의 저항력을 높이도록 노력한다. |
이전글 | 결핵에 관해 자세하게 알고 싶어요. |
---|---|
다음글 | 뽀로로 -손씻기 동영상 뽀드득뽀드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