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면초등학교 로고이미지

자유게시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자료 게시 담당자 : 정보, 생활담당

지층
작성자 이감영 등록일 15.10.05 조회수 206

 

지층은 이란?

자갈, 모래, 진흙 등의 암석이 바다나 강바닥 또는 지표면에 쌓여 층을 이루고 있는 것입니다.

지층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강가의 절벽이나 공사를 하기 위해 땅을 파 놓은 곳에서 지층을 잘 볼 수 있으므로 안전장비를 가지고 관찰한다

 

 

지층

자갈, 모래, 진흙 등의 암석이 바다나 강바닥 또는 지표면에 쌓여 층을 이루고 있는 것을 지층이라고 합니다.

암석 : 자연의 고체 알갱이들이 모여 단단하게 굳어진 덩어리

지층인 것과 지층이 아닌 것

지층인 것

같은 층에서는 색깔, 단단하기, 층을 이루는 알갱이의 종류와 크기 등이 비슷합니다.

지층이 아닌 것

층이 보이지 않거나 하나의 암석으로 되어 있습니다.

지층을 눈으로 구분 할 때의 기준

지층의 색깔, 알갱이의 크기, 알갱이의 종류, 지층의 두께로 구분합니다.

 

지층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질문해주세요.

지층은 주로 강가의 절벽이나 공사를 하기 위해 땅을 파 놓은 곳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지층을 관찰하는 순서

인터넷, 관청, 교육청 등을 통해 지층을 관찰할 장소를 알아봅니다.

안전장비와 암석망치, 돋보기 주머니등을 갖추고 지층을 관찰하러 갑니다.

지층이 쌓인 모양을 스케치하거나 사진을 찍어서 관찰합니다.

 

지층의 특징

퇴적물들이 수평 방향으로 층층이 쌓이므로 층리가 발달해 있습니다.

층리 : 지층에서 나타나는 나란한 줄무니로 퇴적암에서 볼 수 있습니다.

 

2. 지층이 생성되는 과정

먼저 쌓인 것은 아랫부분에 위치하고 나중에 쌓인 것은 윗부분에 위치합니다.

지층이 쌓이는 시간이 길수록 지층의 두께는 두꺼워 집니다.

지층의 안쪽 면은 바깥쪽 면과 같은 모양입니다.

 

지층처럼 우리 주변에서 물체가 쌓여 있는 것은 무엇이 있는지 질문해 주세요.

샌드위치, 시루떡, 아파트, 벽돌 등이 있습니다.

지층이 만들어지는 과정

운반작용 :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운반됩니다.

퇴적작용 : 자갈, 모래, 진흙 등이 쌓이기 시작합니다.

압력(다져짐) : 자갈, 모래, 진흙 등이 계속 쌓이면서 두꺼워지고 아래에 쌓인 것들이 눌리게 됩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단단해진 지층이 생깁니다.

 

여러 가지 모양의 지층

휘어진 지층 : 수평으로 쌓인 지층이 양쪽으로 미는 힘을 오랫동안 받아 휘어집니다.

수직으로 세워진 지층 : 수평방향으로 쌓인 지층이 나중에 힘을 받아 수직방향으로 세워졌습니다.

끊어진 지층 : 수평으로 쌓인 지층이 양쪽에서 밀거나 잡아당기는 힘을 받아 끊어져 어긋나게 됩니다.

지층이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한 이유

아래부터 싸인 지층이 오래시간이 지나면서 지구내부에서 여러 가지 힘을 받기 때문입니다.

 

심화학습

1. 퇴적암

진흙, 모래, 자갈과 같이 알갱이들이 쌓인 것을 퇴적물이라고 합니다.

퇴적물이 굳어진 암석을 퇴적암이라고 합니다.

지층을 이루고 있는 알갱이

진흙, 모래, 자갈 등이 있습니다.

지층을 이루는 암석은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이암, 사암, 역암으로 구분됩니다.

이암, 사암, 셰일, 역암의 색깔은 다양하지만 석회암은 흑회색, 검은색, 회색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묽은 염산을 뿌리면 석회암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기 때문에 거품이 나게 됩니다.

퇴적암 중에 역암의 알갱이의 크기가 가장 큽니다.

퇴적암 관찰

암석에 따라 색깔이 다양합니다.

표면의 촉감이 거친 느낌이 드는 것도 있고 부드러운 느낌이 드는 것도 있습니다.

거친느낌 : 사암 , 부드러운 느낌 : 이암, 셰일, 석회암

2. 지층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

퇴적이 일어난 곳의 수심

: 퇴적물의 알갱이가 클수록 해안에서 가까운 곳에 퇴적됩니다.

해안에서 멀어져 수심이 깊어질수록 자갈 모래 진흙 순서로 퇴적됩니다.

퇴적될 당시의 환경

: 지층을 이루는 퇴적암은 퇴적되던 당시의 환경을 나타냅니다.

퇴적암의 퇴적 당시의 환경

석회암 : 따뜻한 바다

암염 : 건조한 지역의 호수나 바다

응회암 : 화산활동이 있었던 곳

석탄 : 온난 다습한 육지

암염 : 소금으로 이루어진 암석

응회암 : 화산재가 엉겨서 만들어진 암석

지층의 만들어지는 순서

: 화성암이 다른 지층을 뚫고 들어가 있으면, 관입당한 지층이 화성암보다 먼저

만들어진 것입니다.

화성암 : 뜨거운 마그마가 식어 만들어진 암석

관입 : 꿰뚫어 들어가다.

지각변동의 유무

: 지층이 휘어지거나 끊어지는 등 연속적으로 쌓이지 않은 지층은 과거에 심한 지각

변동을 받은 것입니다.

 

이전글 사막여우
다음글 지층에 관한 용어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