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추리 |
|
넘나물, 들원추리, 큰겹원추리, 겹첩넘나물, 홑왕원추리 |
 |
Hemerocallis fulva (L.) L. |
 |
백합과 |
 |
ホンカンゾウ |
 |
Orange Daylily, Tawny Datlily, Fulvous Daylily |
 |
 |
개화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꽃색 |
|
잎 |
잎은 칼처럼 생겼는데 길이 60-80cm, 폭 1.2-2.5cm로서 밑에서 2줄로 대생하고 끝이 둥글게 뒤로 젖혀지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
|
열매 |
삭과는 광타원형이고 3각으로 벌어지며 검은색의 종자를 산출한다. |
|
꽃 |
화 경(花莖)은 높이 1m로서 끝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고 6-8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6-8월경에 개화한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2-8cm로서 윗부분의 것은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밑부분이 화축에 붙어 있으며 꽃은 등황색이고 길이 10-13cm이며 통부는 길이 1-2cm이다. 내화피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폭 3-3.5c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고 통부 위 끝에 달리며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선형으로서 황색이다. 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시들지만, 계속해서 다음 꽃이 10여송이씩 피게 된다. |
|
줄기 |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음. |
|
뿌리 |
가늘며 황갈색이고 끝에 가서 부풀어서 방추형의 육질 괴근이 생긴다. |
|
원산지 |
한국 |
|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 각지의 산야에 분포한다. |
|
형태 |
숙근성 다년초 관엽, 관화식물이다. |
|
크기 |
화경(花莖)은 높이 1m내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