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 |
|||||
---|---|---|---|---|---|
작성자 | 산남초 | 등록일 | 17.07.19 | 조회수 | 278 |
첨부파일 |
|
||||
수인성․식품매개 감염병 예방 댁내의 건강하심을 기원합니다. 최근 집중호우와 관련하여 침수로 인한 시설 및 오염된 물이나 식품을 통한 감염병 발생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에 수인성매개체로 인한 감염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안내문을 보내드리니 잘 읽어보시고 건강관리에 참고하여 주십시오. ※ 수인성 감염병은 대체적으로 전염이 매우 빠른 편 1군 법정감염병으로 분류되며,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비슷한 수인성감염병 종류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장관감염증(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살모넬라감염증, 장염비브리오균감염증 등) ※ 발병시기가 여름부터 늦가을(6월~10월초)까지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금 서늘해졌다고 하여도 주의하여야합니다. ※ 전파양식은 ○ 주로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에 의한 감염됩니다. ○ 환자나 보균자의 배설물에 오염된 음식이나 물 또는 환자가 직접 조리한 음식 등입니다. ○ 장티푸스의 경우 보균자가 부주의하게 다룬 우유나 유제품도 원인이 되며, 파리가 오염물로부터 다른 음식물에 세균을 전파하기도 합니다. ○ 세균성이질의 경우, 매우 적은 양의 세균으로도 감염될 수 있어 환자나 병원체 보유자와 직·간접적인 접촉에 의한 감염도 가능합니다. ※ 수인성 및 식품 매개 감염병 예방 수칙 ○ 음식 조리 및 섭취 전, 배변 후에 손 씻기를 생활화 합니다. ○ 물은 반드시 끓여먹고, 음식물은 철저히 끓이거나 익혀서 먹습니다. ○ 유통기한이 지난 식재료 등 의심 식재료 조리를 금지합니다. ○ 육류 제품은 반드시 익혀서 먹고, 날 것으로 섭취하는 채소류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섭취합니다. ○ 유행지역 해외여행 시 개인위생 및 음식물 섭취 주의합니다. ○ 병원체보균자는 식품을 다루는 업무나 환자 간호 등에 종사하지 않도록 합니다. -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 2. 설사 증상자가 있는 경우에 주변소독을 잘 하도록 합니다. 3. 올바른 손 씻기 방법으로 손을 씻습니다.
|
이전글 | 제14회 한글사랑큰잔치 행사안내 |
---|---|
다음글 | 집중호우로 인한 수인성감염병 예방활동 강화 알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