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절중학교 로고이미지

진로상담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번호 2에 대한 답변
작성자 송절중 등록일 11.10.14 조회수 422

학생이 파일럿이 되겠다는 꿈은 아주 좋은 비젼있는 꿈이예요. 항공기 조종사가 되려면 항공대학교에 진학해야 합니다.

항공 ·교통 ·물류 · 우주법학부 한국항공대학교

www.kau.ac.kr/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항공대길 100 경의선 화전역
 

자신이 잘하며 좋아하는 일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확고히 하며
신념을 가지고 꾸준히 정진한다면 반드시 꿈을 이룰 수 있다는 마음을 다짐해야 할것입니다.

http://www.career.go.kr/index.html
항공학과에서는 고체역학이나 열역학, 동역학, 항공우주공학개론 등을 통해 항공학의 기초 이론을 습득하며 현재 항공공학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도 공부한다. 또한 과학적인 실험 실습 통해 항공학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학습 하고 있으며 로켓트공학이나 헬리콥터공학, 항공기 공력설계 등에 대해서도 배우고 있다.
 1·2학년에서는 항공기자동제어, 공업수학, 재료역학, 항공역학, 항공기제도 등의 과목을 중심으로 공부한다. 3·4학년에서는 항공기구조역학, 항공기추진기관, 기계요소설계, 비행동역학 항공우주재료 및 구조실험
등 보다 전문적이고 실용적인 과목들을 공부하고 있다.


 적성 및 흥미 
 
 항공기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책임감이 강해야 하며 치밀하고 조직적인 두뇌를 가져야 한다.

물리수학에 대한 지식과 흥미는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작은 부분에서는 민감하고 예리하지만 큰 틀에 있어서는 통솔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열성적이면서도 침착한 사람, 활동적이면서도 꼼꼼한 사람, 기계나 사물을 다루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지도 능력과 언어구사 능력이 있는 사람, 전문 분야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과 잘 어울린다.


 취업과 진로 
 
 졸업 후에는 항공기직접 운전할 수 있는 항공기조종사가 되거나 항공 교통을 관리하는 항공교통관제사에서 일할 수 있다, 항공기 및 선박 정비원, 항해사 및 기관사, 용접원, 산업안전및위험관리원, 공작기계조작원, 자연과학연구원 등으로 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기계공학기술자, 그 외 공학관련 종사자, 마케팅 관련 사무원 등으로도 일하고 있다.
 

항공학과는 2006년도 전국의 대학교에 개설된 관련 학과에서 1,072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이중 남자는 955명(89.1%)이고, 여자는 117명(10.9%)이었다. 
 대학교 전체 고용률은 79.4%이고 공학계열의 고용률

은 83.6%이다. 항공학과 고용률은 74.0%로 전체 학과의 평균 고용률과 공학계열의 평균 고용률에 비해 낮다.
 

국가자격으로는 실기교사, 용접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계조립산업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계량기계산업기사, 계량 물리산업기사, 계량전기산업기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사출금형산업기사, 사출금형설계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프 레스금형설계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품질관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항공사진기능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졸업한 후 직무만족도에 관해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1.1%가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직무에 전공이 어느 정도 유용하냐는 전공유용성을 묻는 질문에는 64.9%의 응답자가 도움이 된다고 대답했다. 그리고 전공과 직무 관련성에서 70.3%가 밀접하다고 응답하였다.


 졸업생과 재학생이 본 학과전망 
 
 항공학과 졸업생들은 앞으로의 학과 전망에 관해 30.0%가 밝게 내다보았다.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의 경우 18.8%가 밝다고 응답하여 졸업생들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항공기조종사
신체운동, 공간 시각, 수리 논리
 
유사 직업 : 파일럿, 기장 및 부기장, 항공기관사, 헬리곱터조종사, 경비행기조종사, 수상비행기조종사, 특수항공기조종사, 항공기 시험비행사
 
관련 학과 : 항공학, 항공운항학, 항공조종학

항공기조종사는 항공운송 및 기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항공기나 헬리콥터를 조종한다.

-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항공기나 헬리콥터를 조종한다.
- 탐색, 구조, 항공측량이나 소독약의 분무, 농약살포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비행동안에 항공기의 장으로서 항공승무원의 활동을 지휘한다.
- 항공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새로운 항공기를 테스트한다.
- 새로운 장비의 사용, 기존 면허의 갱신 및 등급을 올리기 위한 시험준비를 훈련시킨다. 

항공기조종사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항공대학, 한서대학, 성화대학공군사관 학교 등에서 항공운항학, 항공조종학, 항공학 전공하여 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밖에도 일반 대학출신자를 대상으로 조종훈련생을 선발하고 있는데 소정의 교육 및 훈련 과정을 이수하면 민간항공사 등에 진출할 수 있다.

- 관련 자격증으로는 교통안전공단에서 주관하는 운송용·사업용·자가용조종사가 있으며, 응시자격에 있어 사업용조종사는 약200시간, 운송용조종사는 약 1,500시간 이상, 자가용조종사의 경우는 약 40시간 이상의 비행시간이 필요하다.

 

항공기조종사는 기상이변 등 갑작스런 돌발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판단력이 필요하다.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책임지게 되므로 책임감, 사명감이 요구되며,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산업ㆍ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 의하면 항공기조종사는 4,385명이며, 대부분이 남성으로 되어 있다.

학력별로는 대졸이 87.2%, 석사가 12.8%를 차지하고 있다.

월평균임금은 690만 원으로 조사되었다.

관련대학교는 아래를 참조하세요

http://univ.kcue.or.kr/classList.do
항공관광학과 위덕대학교    
 
항공비서학부 동양대학교    
 
항공서비스경영학과 탐라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중부대학교    
 
항공여행학과 영산대학교    
 
항공운항서비스학과 극동대학교 호원대학교  
 
호텔관광항공영어과 영동대학교
 
자연
항공관광학과 한서대학교    
 
항공교통관리학과 한서대학교    
 
항공운항학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학과 한서대학교

 
공학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    경상대학교    서울대학교  
 
기계우주항공공학부 순천대학교    
 
기계항공우주공학부 세종대학교    
 
항공기계설계학과 충주대학교    
 
항공기계학과 한서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부산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전북대학교 충남대학교  세종대학교  울산대학교  조선대학교  
 
항공우주및기계공학부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건국대학교    
 
항공재료공학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전자및정보통신공학부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전자시뮬레이션학과 한서대학교
 
예체능 항공해양스포츠학과 한서대학교
 

이전글 진로상담 안내
다음글 파일럿에 꿈을 가져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