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절중학교 로고이미지

역사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역사 7차시 (4.2일) 온라인 학습 안내
작성자 박미숙 등록일 20.03.24 조회수 289

【 역사 7차시- (4.2일) 학습지 】

 

주제 : 고조선의 성장과 발전

1. 학습자료

(1) EBS TV중학 역사1 03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1)~04강 고조선과 여러 나라의 성장(2)(힘들면 안들어도 됨)

(2) 교과서 32~ 34(꼭 해야함 )

(3) 제시된 영상 자료를  모두 활용하여 고조선의 역사 파악하기 (꼭 해야함 )

영상자료 1 단군신화 이야기

단군신화 https://www.youtube.com/watch?v=hDH6wlgo-CM

단군신화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HBldc8uuIvQ

영상자료 2. 영상한국사 ㅣ 030 거대한 돌무덤과 비파형동검을 쓰던 고조선인들 (KBS 역사저널 그날)

1980년대 요동 보란점시의 고인돌 유적에서 모두 9개의 고인돌을 조사됐다. 그중 6호 돌무덤에서 매우 의미심장한 유물들이 출토됐다. 무덤 아래쪽에서는 평안북도

미송리에서 제일 먼저 발견됐다고 해서 미송리형 토기로 이름 붙여진 그릇 2점 출토됐고, 무덤 위쪽에서는 비파형 청동 단검이 한 자루 발견됐다.

영상자료 3. 영상한국사 ㅣ 028 비파형 동검으로 본 고조선의 문화와 영역 (KBS 역사저널 그날) (2:57)

영상자료 4. 영상한국사 ㅣ 031 공권력이 존재했던 국가, 고조선 (KBS 역사저널 그날) (5:43)

삼국유사는 지금부터 2천 년 전에 단군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이름을 조선이라 했는데 이는 요와 같은 시대였다고 적고 있다. 중국의 기록에는 고조선의 국가체제를 알려주는 단서가 있다. 한서지리지가 전하는 고조선의 범금8중 남아 있는 3개 항은 사람을 죽이면 사형에 처하고, 남에게 상해를 입히면 곡식으로 배상하며, 도적질한 자는 노비로 삼는다는 것이다. 고조선이 공권력을 통해 사회질서를 유지했음을 의미한다. 대규모의 성과 법이 존재했던 고대국가 고조선은 완성된 국가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영상 자료 5. 영상한국사 ㅣ 033 고조선은 왜 멸망했나 (KBS 역사저널 그날) (2:56)

원전 206, 진을 멸망시키고 한이 중국의 통일왕조로 들어선다. 당시 한을 위협했던 최대의 적은 북쪽의 흉노와 동쪽의 고조선이었다. 기원전 108, 한은 육군 5, 해군 7천의 병력을 동원해 고조선을 공격하지만 1년이 넘도록 왕검성을 함락시키지 못한 채 성 주위를 맴돌아야 했다. 그만큼 막강했던 고조선이 흔들리게 된 것은 외적이 아닌 내부 분열이었다. 기원전 108, 니계상 참이 왕을 죽이고 한에 항복하면서, 오랜 세월 고대국가의 기틀을 잡고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군림했던 고조선은 멸망하고 만다.

2. 학교 홈페이지/ 2학년 배움 자료방 / 역사방/ 댓글달기(이해하기 어려운 거 질문하기)

3. 과제수행 : 교과서 32쪽 역사탐구, ‘단군 이야기의 문제 1과 문제 2의 해답을 직접 교과서에 여백을 이용하거나 포스트 잇을 붙여서 자신의 생각을 담아 적어 놓기

다음글 역사 8차 (4.3일) 온라인 학습 안내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