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촌중학교 로고이미지

20 최진주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포화속으로
작성자 최진주 등록일 10.09.28 조회수 34

이 영화는 아빠가 보고싶어하는 영화이길래 추석에 언니의 USB에 저장해 놓은 영화이다.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한국 전쟁이 시작된다. 압도적인 화력으로 무장한 북한군은 파죽지세로 남쪽으로 진격을 거듭하고, 남한군의 패색은 짙어져만 간다. 전 세계가 제 3차대전의 공포에 휩싸이자 UN은 엄청난 수의 연합군을 대한민국에 파병할 것을 결정한다. 이미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남측은 연합군의 도착을 기다리며 낙동강 사수에 모든 것을 내걸고 남은 전력을 그곳으로 총집결 시킨다.

“지금부터 이곳은 학도병 제군들이 맡는다. 우리 3사단은 낙동강전선에 투입된다.”
“우리보고 여를 지키라는 겁니까? 우리끼리만요?”
포항을 지키던 강석대(김승우)의 부대도 낙동강을 사수하기 위해 집결하라는 명령을 받는다. 하지만 이제 전선의 최전방이 되어버린 포항을 비워둘 수는 없는 상황. 강석대는 어쩔 수 없이 총 한 번 제대로 잡아 본 적 없는 71명의 학도병을 그곳에 남겨두고 떠난다. 유일하게 전투에 따라가 본 적이 있다는 이유로 장범(최승현-T.O.P)이 중대장으로 임명되지만, 소년원에 끌려가는 대신 전쟁터에 자원한 갑조(권상우) 무리는 대놓고 장범을 무시한다. 총알 한 발씩을 쏴보는 것으로 사격 훈련을 마친 71명의 소년들은 군인들이 모두 떠난 포항에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 지 모른 채 석대의 부대가 다시 돌아오기만을 기다린다. 영덕을 초토화 시킨 북한군 진격대장 박무랑(차승원)이 이끄는 인민군 766 유격대는 낙동강으로 향하라는 당의 지시를 무시하고 비밀리에 포항으로 방향을 튼다. 영덕에서 포항을 거쳐 최단 시간 내에 최후의 목적지인 부산을 함락시키겠다는 전략. 박무랑의 부대는 삽시간에 포항에 입성하고, 국군사령부가 있던 포항여중에 남아있던 71명의 소년들은 한밤중 암흑 속을 뚫고 들려오는 소리에 잠을 깬다. 고요함이 감돌던 포항에는 이제 거대한 전운이 덮쳐 오고, 낙동강 전선에 투입된 강석대 대위는 학도병들을 걱정할 틈도 없이 시시각각 모여드는 인민군 부대와 맞서야 한다. 2010년은 6.25 발발 6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지만 한국전쟁은 많은 이들에게 잊혀져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학생의 신분으로 전쟁터의 포화속으로 뛰어들어 거대한 전쟁의 운명을 바꾸었지만 지금은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71명 학도병의 실화를 그린 <포화속으로>는 그런 의미에서 단순한 영화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재한 감독이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학도병들의 숭고한 희생을 알려야겠다는 사명감으로 영화를 완성했다”라고 밝혔듯, <포화속으로>가 60년간 잊혀졌던 역사의 한 페이지를 되살려 내는 뜻 깊은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10년, <포화속으로>를 통해 되살아난 학도병 71명의 슬프고도 위대한 전투는 오랫동안 잊지 못할 가슴 뭉클한 감동을 선사할 것이다.
“어머니, 나는 사람을 죽였습니다”로 시작하는 편지는 포항전투가 있었던 8월 11일, 71명의 학도병 중 한 명이었던 이우근 학생이 쓴 것이다. 당시 중학교 3학년이었던 열 여섯 소년의 편지에는 난생 처음 사람을 죽이고 느끼는 충격과 슬픔, 이길 수 없는 적을 향한 두려움과 마지막까지 희망을 잃지 않는 용기가 가슴 절절하게 녹아있다. “어머니, 전쟁을 왜 해야 하나요?”라는 소년의 물음에 6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답을 할 수 없는 것이 대한민국의 슬픈 현실이다. 이우근 학도병은 결국 어머니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했고 편지 역시 후일 시신을 수습하던 생존 학도병에 의해 발견되어 세상에 알려졌다. 세상의 때가 묻지 않은 학도병의 눈을 통해 본 전쟁의 참상, 이념으로부터 자유로운 그의 눈에 비친 전쟁의 끔찍함은 <포화속으로>가 담고자 하는 메시지를 고스란히 대변하고 있다. 내가 좋아하는 연예인도 나오고 6.25의 아픔도 잘 알게되어서 좋은 영화인것같았다.





이전글 스윙걸즈
다음글 영화'어린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