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주판의 어원
작성자 최창미 등록일 13.11.17 조회수 95
아바쿠스는 "평판"이라고 하는 의미로 평평한 판(돌이라든지 나무로 되어 있음)을 말합니다. 그 위에 돌을 늘어놓아 계산했습니다. 인류의 역사에 있어 수를 나타내거나 계산한다고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그러니까 온 세상에서 누구나가 알기 쉬운 구체적인 돌이나 코인 그리고 구슬을 사용해 계산하는 「주판」이 탄생했습니다.
구술 사용 주판 모습약 2,500년전 아바쿠스 모습
  중국의 주판에 관한 오래된 문헌에는
나시 아마네 궁실 유적 출토의 도환(기원전 1000년경)
청색20알갱이, 황색70알갱이의 진환형의 도환을 중국에서 가장 낡은 주산 공구(산주)라고하는 설이 있습니다.
수술기유(2세기의 어악의 문장에 6세기의 것이 주를 더한 책)
이 책에는, "주산"이라고 하는 계산법이 있는 것이 쓰여져 있습니다. 주판에 대해서는 판을 상·중·하로 나누어 상·하에 주를 준비해, 중간 부분에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5자리와 1자리가 분류되어 있는 일도 쓰여져 있습니다. 그러나 구슬이 마주 보고 있었는가는 모릅니다.
철경록(1366해,도중의)
이 책에는, "하인을 고용해 보면, 처음은 잘 일한다(뇌반주). 당분간 경과하면, 명령한 일밖에 하지 않는(주판주), 그 중에서 말해도 움직이지 않는다(줄정주)" 라고 있어, 주판이라고 하는 문자가 나옵니다.
괴본대 상4말 잡무(1371해)
이 책은 일종의 그림책으로 그림의 옆에 거기에 상당하는 한자가 기록되고 있습니다. 이 그림을 보고 알수있듯이 5자리 2개 1자리 5개로 된 주판이 근래에도 유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주판
계산기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5천년 전이었다. 기원전 3천년께 바빌로니아인들이 널빤지에 모래나 분말을 놓아 셈하는 주판을 사용한 것이 그 효시였다.
그 뒤 중국에서는 기원전 6백년때 들어 구슬을 끼운 주판을 개발했는가 하면 고대 로마에서는 기원전 3∼4 세기에 홈을 판 널빤지 위에 여러 개의 줄을 긋고 조야골을 놓아 셈하는 홈주판을 이용했다.
그러나 서양의 주판은 아라비아숫자의 보급에 따라 점차 쇠퇴하여 17세기에는 그 모습이 사라지고 전산위주의 계산법이 정착했다. 그에 따라 한때 주판이 서양에서 중국으로 전래했다는 설이 주장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는 각기 독자적으로 발명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후한말의 서악이 쓴 수술기유란 책에 주산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으로 미루어 당시에도 주판을 썼음을 알 수 있고 그 뒤 15세기중반에 와서야 널리 보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국의 주판이 한국에 언제 들어왔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1593년(선조 26) 정대저의 "산법통종" 출간이 그 전래를 확인시켜 주는 첫기록이다. 당시에는 일부 식자층에서만 관심을 기울였을뿐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한다. 그와 같은 사정은 조선말까지도 마찬가지였다.
한국에서 주산 보급이본격화된 것은, 1920년 조선주산보급회가 생기면서부터다. 그 뒤 36년 보성전문학교가 첫 주산경기대회를 개최한 이후 잇따라 대회들이 열림으로써 그 보급이 더욱 활기를 띠게 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1950년대에 상업학교의 교육과정에 주산과목이 채택 된데 이어 60년대부터는 정부에서 검정을 실시했고 일반 학교에서도 주산을 특기교육의 하나로 장려했다.
한 때는 주산에도 급수가 있어 승급과 승단을 위한 시험을 보곤 했던 주산, 주판이 이제 어린이들의 두뇌개발을 위해 다시 부활하고 있는것이다.
실용과 속도를 중시하는 사회인식속에서 사라져 갔던것이 주판만은 아니지만 사람의 머리를 사용하지 않은 방향으로의 진보는 결국 인간을 위한 발전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시대가 곧 올 것 같다는 것은 단순한 나만의 기우일까 ?
이전글 주산을 배우면 이렇게 달라집니다~~
다음글 2013년 주산과암산부 공개수업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