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너울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제2020-106호) 장애이해 및 인권교육
작성자 새너울중 등록일 20.11.24 조회수 263
첨부파일

<코로나19 시대

- 당신의 안부를 묻습니다> 글 안문정 (다산인권센터)

#1 로켓배송에 가려진 인권

코로나19 초기, 전 세계 시장이 사재기로 몸살을 앓을 때, 한국을 평화롭게 지켜낸 것은 택배 노동자 덕분이었다. 하지만 집단 감염을 통해 본 택배 노동자의 일터는 손 소독제, 환기 등 최소한의 방역 지침도 지켜지지 않고, 확진자가 발생해도 배송만을 우선하는 곳이었다. 회사는 현재까지 노동자들에게 사과도 하지 않은 채,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택배 노동자들의 노동은 우리 삶의 편의를 유지하게 해주었지만, 집단 감염이 발생했을 때 그들에 대한 차가운 시선과 차별은 사회적으로 확산되기도 했다. 로켓배송에 가려진 택배 노동자들의 인권과 노동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2 안전한 공간이 필요하다

코로나19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물리적 거리두기, 외출 자제, 자가 격리 등은 대부분 집이라는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공간이 있음을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적절한 주거공간이 없는 이들은 감염병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서울역 등 일부 역사는

방역조치를 이유로 의자 이용을 금지하거나 치워버리는 일을 반복했다. 거리 노숙인의 긴급한 주거의 공간뿐 아니라 쪽이나 고시원에 거주하고 있는 이들에 대한 대책 역시 마련되고 있지 못하다. 거리두기를 생활화하자 했지만, 그 정책에 배제되는 이들의 인권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3 학교의 안과 밖

돌봄과 교육의 공백을 담당하던 학교의 공백은 새로운 문제를 마주하게 했다. 온라인 개학이 시작되었지만 장애인, 이주민 등의 경우에는 학습권에 불평등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등교 개학이 지연되면서 돌봄에 방치된 청소년이 배고픔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한 사건도 있었다. 돌봄과 교육 문제는 학교가 멈춰서 일어난 일이 아니다. 학교가 멈추면서 일상 속에 가려졌던 문제가 드러난 것뿐이다. 코로나19 이후, 달라져야 한다 말한다.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교육, 누구도 내몰리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움직임이 시작되어야 한다.

2020. 11 . 27

새너울중학교장

 

 

활동지

(오마이걸 승희, 유선호 주연, 도티 출연/ 유튜브에 거북이 채널 검색)

- 아래의 질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어보세요. 정해진 답은 없으니 자유롭게 의견을 작성하면 됩니다. ‘거북이 채널영상을(1시간 8) 참고해 적을 수 도 있답니다.^^ 다 작성한 친구들은 통합지원반(1)으로 가져와 주세요. 멋진 상품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기간 : 128일까지

1. 다름을 받아들이고 함께 어울린 다는 것은 어떤 모습을 의미 하는 것일까요??

 

 

 

 

 

 

2.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쉽게 다른 사람을 판단하거나 평판을 깎아 내리는 소문들이 퍼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타인에 대한 정보와 이야기를 신중하지 못하게 전달했을 때 어떤 일들이 발생 할 수 있을까요??

 

 

 

 

 

 

 

 

3. 드라마처럼 경계선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법적인 보호와 사회의 수용을 받는 모든 부면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장애를 가지고 있거나 나와 어울리는 것이 불편하다고 생각 되는 사람과 함께 지내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나 특성이 필요할까요?

이전글 (제2020-118호) 2021.동계정보아카데미 교육안내
다음글 (제2020-115호) 코로나19 대응 아동실태조사 협조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