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너울중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제2020-16호) 코로나19 마음건강 학부모 교육자료
작성자 새너울중 등록일 20.04.03 조회수 83
첨부파일

 [코로나19 마음건강 학부모 교육자료 1]
  성인과 다른 비전형적인 모습을 보이며, 심리적으로 다른 요소(부모, 교사, 친구)의 영향을 많이 받음. 신체증상(두통, 복통), 짜증, 떼쓰기, 수면 문제, 식욕 변화 등의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1. 이해하고 공감하는 대화를 나누세요.
  감염병 위험으로 인해 불안한 감정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힘들 수 있음을 공감해주고 어떤 것을 함께 하면 좋을지 방법을 함께 찾아봅니다.

2. 건강한 모델이 되어주세요.
  불안으로 인해 퇴행 된 행동을 보이거나 징징거릴 때, 우선 부모가 어떤 심리적 상태     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부모가 불안하거나 우울하면 그 상태가 아이에게 전해질 수 있    습니다.

3. 과도하게 뉴스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주세요.
  자극적이고 부정확한 정보에 계속 노출되면 불안감이 더 증가할 수 있습니다.
  시간을 정해 부모와 함께 뉴스를 보며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4. 자녀를 많이 안아주고 토닥여주세요.
  자녀가 안전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방법 중 부모와 다정한 신체적인 접촉이 나이가    어릴 수록 효과가 있습니다.

5. 규칙적인 일과를 정해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개학이 연기되거나 격리되어 학교에 가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시간을 규칙적으로 보내    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화나 인터넷 등을 통해 친구와 연락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    니다.

6. 아동이 격리되었거나 주변에 확진자가 있는 경우 특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잘못으로 상황이 벌어졌다고 생각하며 죄책감을 느끼거나, 타인의 잘못이라고     생각하며 비난할 수도 있습니다. 상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세요.

 

 [코로나19 마음건강 학부모 교육자료 2]

 미취학 아동
 - 나이가 어린 아동은 불안할 때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대소변 실수, 악몽,
   떼쓰기, 신체 증상(복통, 두통) 등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 부모와 분리되는 경우 분리 불안이 생길 수 있습니다. 불가피한 이유로 부모와 분리된     다면 이러한 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규칙적으로 시간을 정해 부모와 일정 시간     통화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초등학생
 - 이 시기의 아이들은 기분, 신체 증상, 수면에 대해 구체적으로 물어보면 대부분 대답     할 수 있습니다.
 - 겉으로 볼 때는 상황을 잘 이해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확률이 낮은 일에 대해      과도하게 공포감을 느끼는 등 비현실적인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나이에 맞게 코로나 19에 대해 설명해 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핸드폰 사용과 게임 시간에 대한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족들과의 보드게임이나     영화보기, 대화하기 등의 활동으로 주의를 돌리는 것이 좋습니다.

 청소년
 - 청소년들은 부모님을 걱정시킬까 봐, 약해 보일까 봐, 인정하고 싶지 않아서, 생각하     고 싶지 않아서 등등의 이유로 심리적인 어려움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대화를 시작할 때 일상적인 이야기인 관심사, 뉴스, 수면등의 이야기로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자해나 자살 생각이 늘어나는 시기이므로 이에 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많아져 이에 대해 표현하고 싶어할 수 있습니다. 감염병 확산      중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해 논의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
 - 핸드폰 사용과 게임 시간에 대한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평소보다 시간이 많아져서     조금은 더 너그러운 태도로 허용할 수도 있지만, 일상으로 돌아가면 이전 규칙으로 돌     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 참고자료
1.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지침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회
2. 아이를 돌보는 어른을 위한 마음건강지침,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0. 4. 2.

새 너 울 중 학 교 장


 

이전글 (2020-17호) 온라인 개학에 따른 생활 교육 안내
다음글 (제2020-15호) 온라인학습을 위한 이동통신 데이터 무료 지원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