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탐구대회가 열린다고 해서 물에 대해 조사를 했다. 나는 옛날부터 "만약에 물이 사라진다면"? 이라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갑자기 물이 사라지면 많은 식물이 죽고 많은 사람들은 갈증 때문에 죽을 것이다. 지금 우리 지구촌에도 물이부족해서 가뭄이 일어나는 곳이 있다. 나는 이번 탐구대회를 기회로 삼아서 물에 대해 더 알아보려고 한다. 지금 우리나라는 물이 부족한 상태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우리나라가 물 부족 국가가 아닌 줄 알고 있다. 그래서 나는 컴퓨터로 조사를 하면서 전 세계의 수자원 분포 현황을 보았는데 우리나라도 물 부족 국가에 해당되어 있었다. 적도 중심의 주변국이 물부족이 심하였다. 물론 우리나라도 포함되어 있었다. 지금 우리나라는 점점 사막화가 되고 있다는 기사를 보았다. 멀지않아 우리나라도 사막이 될 것 같다. 우리나라는 땅 면적에 비해 물이 많이 나오지만 땅면적에 비해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빗물 저장비율이 낮아 물부족 국가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봄마다 물 부족이 심해진다. 가끔씩 뉴스를 보면 어느 마을에 물이 부족해서 소방서에서 물을 공급해 주는 장면을 보게 된다. 지난 UN에서 90년에 리비아, 모로코 등 7개국과 함께 한국을 물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쓰는 물의 양은 프랑스와 영국에 비해 두배 가까이 되고, 우리가 사용 할 수 있는 물의 양도 세계 평균치의 12% 정도에 불가하다. 10년이 지나기 전에 물 부족이 큰 문제가 될 것이며 세계의 물 부족 국가가 생기는 원인은 첫째 인구증가에 따른 물 사용 증가 때문이다. 1인당 사용하는 물의 양은 도시화와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증가, 공장이나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와 생산원료로서 쓰이는 물 워터파크등 사람들이 사용 하는 물등이 있다. 셋째 도시화에 따른 물 부족 때문이다. 아스팔트와 시멘트로 된 길들이 빗물이 땅속에 스며드는 현상을 방해해서 지하수의 양이 줄어든다. 우리 주변에서 할 수 있는 실천은 첫째 수도꼭지나 관의 누수를 철저히 점검 한다. 둘째 절약형 샤워꼭지나 유랑 조절기가 부착된 것을 설치한다. 셋째 샤워하는 시간을 줄인다. 샤워하는 시간을 줄이면 18~25L 정도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나는 물에 대해 조사하기 전에는 왜 우리나라가 물 부족국가인줄 몰랐는데 조사를 해보니 왜 우리나라가 물 부족국가인줄 알게되었다. 미래에는 물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물이 없어서 물을 마실려고 전쟁을 하게 될 것이라는 언론도 있다. 지금 현재에는 맘껏 쓸 수 있는 물을 미래에는 물이 없어서 물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기사를 보니 물을 정말로 아껴 써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