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명초등학교 로고이미지

다문화교육정책학교 유치원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다문화 학부모 대상 "한국 문화 이해 교육"을 위한 게시판 입니다. Класс понимания корейской культуры.

자녀들이 주로 쓰는 한국말, 한국 음식, 유치원 생활 모습 등을 소개합니다:)  

3월 8일 (수) 다문화 이해 교육 - 세계 여성의 날
작성자 봉명초 등록일 23.03.08 조회수 33

세계 여성의 날

           (International Women's Day, Международный женский день)

 

 

                        "우리에게 빵을 달라. 그리고 장미를 달라" 

 

 

 

 

 

 

  세계 여성의 날이 지금의 38일로 굳어진 건 러시아 여성들의 대규모 파업이 발단이었다. 러시아 여성 노동자들의 시위가 시작된 날을 양력으로 계산한 것이 191738일이었던 것이다. 1921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2회 코민테른 여성회의에서는 여성의 날의 날짜를 38일로 통일해 함께 기념할 것을 결의했고, 1922년부터는 38일이란 날짜에 맞춰 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관행이 국제적으로 정착되기 시작했다.

  '세계 여성의 날'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것은 러시아 여성 노동자들의 시위로부터 60여 년이 지난 뒤였다. 여성 운동의 물결이 서구 전역으로 확산하자 UN1975년을 '세계 여성의 해'로 지정하고, 매년 3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기념하기로 했다.

 

  1975'세계 여성의 해' 기간 동안 유엔은 38일을 세계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로 기념하기 시작했다. 2년 후인 197712월 유엔 총회(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는 각 국가들이 자신들의 역사적이고 국민적인 전통에 따라서 1년 중 어느 하루를 정해 그 날을 여성의 권리와 세계 평화를 위한 유엔의 날로 준수할 것을 선포하는 결의를 채택했다. 총회는 이 결의를 통해 평화와 발전을 위한 노력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인정하고, 차별의 종식 및 여성의 완전하고 평등한 참여를 위한 지원의 증진을 촉구했다.

 

  한국에서 여성의 날이 부활한 건 1975UN이 이를 공식 지정한 지 정확히 10년이 지난 시점이다. 198538일 서울 명동에서는 3.8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는 제1회 한국여성대회가 개최됐다. YWCA 중강당에 모인 300여 명의 여성은 이날의 감격과 결의를 담은 '민족·민주·민중과 함께 하는 ’8·5 여성운동 선언'을 채택해 여성의 날의 부활을 선포했다. 이후 여성단체와 노동계가 중심이 돼 매년 38일을 '세계 여성의 날'로 기념해 각종 행사를 열었다.

  여성의 날이 우리나라의 공식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건 오래되지 않았다. 지난 2018년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과 당시 자유한국당 나경원 의원이 각각 대표발의한 '양성평등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38일이 비로소 법정기념일인 '여성의 날'로 지정된 것이다.

 

  현재 전 세계 100개국이 넘는 나라가 세계 여성의 날을 국가 차원에서 기념일로 지정하고 있다. 특히 상당수 옛 공산권 국가는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러시아 공산혁명의 시발점이 191738일 페트로그라드에서 열렸던 여성노동자들의 여성의 날 시위여서다. 이로 인해 공산권에서는 이날이 실질적인 공산주의 탄생일로 여겨지며, 러시아를 비롯한 북한,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및 아프리카의 공산권 국가들도 대부분 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공산권 국가들에서는 여성단체들의 기념행사나 시위 등에 국한되지 않고 전 국민들의 봄맞이 축제처럼 여겨지고 있다. 여성의 날을 공휴일로 지정한 러시아에서는 이날이 남성이 여성에게 꽃을 선물하는 날로 알려져 꽃집에는 밸런타인데이보다 훨씬 많은 사람이 몰린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여성의 날은 다른 공산권 국가들과 달리 여성들만의 공휴일이다. '3·8부녀절'이라고 부르는 중국 여성의 날엔 여성직원들의 경우에만 단축업무가 인정되거나 아예 쉬는 경우도 많다.

이전글 3월 20일 다문화 이해교육- 러시아 전통 목각인형 까름리니예 만들기(보라반)
다음글 12월 28일 (수) 다문화 이해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