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28 호 교무실 : 652-6488 행정실 : 652-6485
희망찬 백운소식 http://www.paegune.es.kr/
겨울방학 안전하고 즐겁게 생활합시다.
2016학년도 겨울방학을 맞이하여 가정 내 생활지도를 위한 안내를 드리고자 합니다. 겨울방학 동안 학생들이 가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과 현장체험학습을 통해 좋은 책읽기, 효행실천, 봉사활동, 취미생활, 여가선용 등의 기회를 많이 갖도록 하고, 특히 ‘안전사고 없는 겨울방학’이 되도록 다음 사항을 꼭 지킬 수 있도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방학 중 자녀지도에 대한 학부모님들의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ㅇ 계획적이고 자주적인 방학생활 실천지도 및 자녀의 특기․적성 육성 ㅇ 기본생활습관 및 예절교육 기회 제공 ㅇ 가족과 함께하는 현장체험학습 실시(문화탐방, 고적답사, 효도방문 등) 나. 가정에서의 건전한 인터넷 사용 지도를 해 주세요. ㅇ 가정에서의 건전한 인터넷 문화 정착 노력 ㅇ 인터넷 사용 시간 지도 및 건전한 취미활동 병행 유도 다. 여행, 수련, 봉사, 체험활동에는 꼭 보호자가 동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 하도록 합시다. 라. 각종 안전사고 예방합시다. ㅇ 빙상안전지도(특히 저수지 주변 썰매 타기 금지-보호자 동반) ㅇ 폭설 등 자연재해에 대비 ㅇ 야외․야영 활동시 안전지도 : 보호자 동반 ㅇ 교통안전 - 횡단보도 이용하기, 자전거 및 킥보드, 인라인스케이트 이용 시 안전모 착용 ㅇ 전기안전 - 사용하지 않는 전기 차단, 전열기구 안전 사용 마. 성폭력, 실종사고를 예방합시다. ㅇ 위급사항의 대처요령 - 큰소리를 질러 주변 사람에게 알린다. - 강제로 끌고 갈 때 "살려주세요" 라고 외친다. - 비상벨을 누르거나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한다.(파출소 원터치SOS시스템) - 평소에 혼자 다니지 말고 친구랑 짝을 지어 다닌다. ㅇ 성폭력 관련 신고 및 지원시스템 ∙수사기관 : 112, 경찰서 ∙여성긴급전화 : 국번 없이 1366 ∙아동상담전용전화 1577-1391 및 복지콜센터 129 ∙청소년상담지원센터 : 국번 없이 1388 ∙고충․상담전화 핫라인 시스템 가동(1588-7179) 긴급 112 119 비긴급 110 (120)
겨울철 안전사고 예방요령 ( 가정에서 꼭 지켜주세요! )
❄ 화재가 발생하면 이렇게 1. “불이야”라고 아주 큰소리로 외치며 소리가 나는 물건들을 두들겨서 주위사람에게 알리기 2. 주소와 주변 큰 건물이름 등으로 119 신고하기 3. 젖은 수건 등을 물에 적셔서 입과 코를 가리고 최대한 자세를 낮추어서 대피하기 4. 화상 시 깨끗한 찬물로 구급차가 도착 전까지 빨리 식히기 ❄ 유류(기름을 사용하는)기구 사용은 안전하게 1. 사용 중 옮기거나 기름 넣지 않기 2. 난리 등 주변에는 불에 타는 물질 두지 않기 3. 반드시 ‘KS’등 인증된 제품 사용하기 4. 어린이, 애완동물의 통행이 많은 곳에서 사용하지 않고 근처에 소화기 비치하기 ❄ 스키장 등 미끄러운 곳에서는? 1. 보호장구를 꼭 착용하고 준비운동 등 안전수칙 준수하기 2. 강이나 저수지 등 위험한 곳에서 스케이트, 썰매 타지 않기 3. 어린이가 눈썰매나 빙상놀이를 할 때는 부모와 같이하기 4. 스키장에서는 자기능력에 맞는 코스를 이용하고 통제된 코스에서는 스키를 타지 않기 5. 야간스키를 탈 때는 다른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곳에서 타기 ❄ 폭설(갑자기 내리는 많은 눈)이 내리면? 1. 지하철·버스 등 대중교통 이용하기 2. 설해대비용 안전장구(체인, 삽 등) 휴대하기 3. 방송으로 교통상황 파악하기 4. 쉽게 눈 치울 수 있게 도로변 주차 삼가하기 5. 미끄럼방지를 위해 짐과 사람 뒤쪽에 태우기 6. 비상시 대비 보험회사 등 긴급출동번호 알아두기 7. 내 집 앞, 내 가게 앞 눈은 내가 치우기 8. 빙판길에 모래를 뿌려서 미끄럼사고 방지하기 9. 평상시보다 조금 일찍 출근하고 일찍 귀가하기 ❄ 겨울철 등산은? 1. 치밀한 계획과 철저한 준비로 안전한 산행하기 2. 아이젠 및 각종 보온장비 등 겨울철 등산장비를 완벽하기 3. 비상식량, 구급약품, 랜턴, 호루라기 등 비상물품 준비하기 4. 경험이 많은 사람 또는 최소 3명이상 동행하기 5. 기상 악화시에는 즉시 인근 대피소 등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기 (☎ 지역번호없이 119, 핸드폰은 지역번호+119) 6. 수시로 기상정보를 파악하고 안내방송에 귀를 기울이기 2016년 12월 26일
백 운 초 등 학 교 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