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초등학교 로고이미지

가정통신문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제30호 자녀사랑하기 뉴스레터3호 관련 통신문
작성자 백운초 등록일 16.05.10 조회수 104
첨부파일

30

교무실 : 652-6488

행정실 : 652-6485

희망찬 백운소식

/

 

 

 

자녀사랑하기 3- 공부를 둘러싼 부모자녀 간의 갈등

 

 

학부모님께 드리는 말씀

사각형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초등학생은 인지 기능이 미성숙하기 때문에 아무리 학습 시간이 길어도 학업적 성취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균형잡힌 뇌발달을 위해서는 신체 활동과 놀이를 통한 사회성 및 긍정적 정서 발달이 더 중요합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읽기, 쓰기, 사칙연산 등은 본격적인 학습을 위한 기초학습능력에 해당됩니다. 기초학습단계를 생략하고 성급히 다음 단계를 수행하도록 강요하면 아이가 공부에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읽기능력의 경우 속도와 정확성이 중요하며 읽기 능력이 발달하지 못하면 전반적 학습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교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자녀의 학습에 대해 지적할 때 아이가 짜증스럽게 반응하는 것은, 자녀도 스스로 학습 문제를 알고 해결하고 싶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학습에 대해 자녀와 대화할 때는, 같은 목표를 가진 한 팀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공감하고 격려해 주세요.

학습 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고 구체적인 해결 방법을 함께 고민해 주세요.

 

잘하고 싶은데 잘 안 되어 얼마나 힘들었니?”

이번에 성적이 잘 안 나와서 엄마(아빠)도 속상하지만 너는 더 속상하겠구나.”

수학이 어려워서 속상한가 보구나. 어떻게 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지

엄마(아빠)랑 함께 고민해 볼까?”

 

 

묶음 개체입니다.

초등 저학년 시기는 오랜 시간 집중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짧은 시간 동안 할 수 있는 양의 과제를 통해 아이가 성취감을 자주 느끼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친 선행학습이나 과도한 학습량은 오히려 점진적인 성취과정을 방해하여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수 있는 불안 요소(불안한 마음)가 없는지 확인해 보세요.

 

묶음 개체입니다.

공부 외에도 자녀가 가진 고유한 특기를 찾아내어 자주 칭찬해 주세요. 칭찬은 자녀의 자존감을 키워주고 긍정적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만듭니다.

자녀를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습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학습을 방해하는 정서·행동문제를 자녀가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이해능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지속적인 노력을 해도 읽기나 연산 등의 기초학습능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집중력이 지나치게 부족하고 산만한 경우

매사에 걱정이 많고 심하게 불안해하는 경우

예전과 달리 우울해하고 의욕이 없는 경우

부모에게 지나치게 반항적이거나 문제행동이 있는 경우

여러 가지 노력을 하였으나 지속적으로 학습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부모님의 말씀 한마디

- ‘공부 좀 해라라는 말보다 공부하느라 고생이 많구나!’ 라는 말을 건네면 어떨까요?

- 자녀가 성적이 떨어져서 공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이번에 성적이 떨어져서 너도 많이 속상했겠구나?’ 라는 이야기로 시작해보세요.

- ‘공부해라가 아닌 공부하자로 다가가 주세요.

 

2016510

백운초등학교장

본 뉴스레터는 교육부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에 의뢰하여 제작한 자녀 사랑하기” 3호이며, 11회에 걸쳐 가정으로 보내드립니다.

이전글 제31호 학생 건강검진 안내 관련 통신문
다음글 제29호 재난대응관련 통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