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암을 예방하는 식품
작성자 남성초 등록일 09.03.03 조회수 256

암억제 식품사전-고추냉이·브로콜리·무
매운맛·향 발암억제 효과

식품환경신문 2007-06-28

고추냉이, 브로콜리, 무 등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유채과의 채소라는 점이다. 그리고 썰거나 강판에 갈았을 때 독특한 매운맛과 향을 내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매운맛과 향을 내는 성분에 발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고추냉이에는 강력한 발암 억제물질이 함유돼 있다.

해독제 생성 효소활동 촉진

우리 몸은 해로운 이물질이 들어오면 방어하려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면역이라든가 이물질대사라고 하는 해독체제가 여기에 해당된다.

발암물질 같은 이물질이 몸속에 들어오면 각 장기에서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려는 방어반응이 일어난다. 그중에서도 가장 활발한 것이 간에서 일어나는 반응이다.

이 과정에서 해독효소라는 것이 만들어져 이물질 배출 작용을 돕는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 연구팀이 브로콜리에서 해독효소를 발견했다. 브로콜리에는 해독효소의 하나인 퀴논 리덕타제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설포라판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를 계기로 일본 연구팀에서는 발암 억제효과가 있는 식품에 대해 실험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여러 야채들의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를 얻게 되었다.

이 실험에 따르면 유채과의 채소들은 효소의 활동을 촉진시키는데 그중에서도 고추냉이의 발암 억제효과가 가장 강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 추냉이의 톡 쏘는 향기에는 6-MSHI라는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이것이 효과의 주요 원인이라고 한다. 한편, 또 다른 실험에서는 고추냉이의 6-MSHI 성분이 브로콜리의 설포라판 성분에 비해 최대 1.9배, 평균치에서도 약 1.3배나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이 입증됐다.

고추냉이는 강판에 갈아 내린 것을 입에 넣는 순간부터 이미 6-MSHI의 형태로 섭취가 이뤄진다.

브로콜리는 보통 갈아서 먹기보다 그냥 먹는데 이 경우 장내 세균의 활동으로 인해 갈아 내린 것과 같아지고, 거기서 설포라판의 흡수가 시작된다. 결국 고추냉이의 6-MSHI 쪽이 좀더 효율적으로 섭취할 수 있고, 흡수력도 높다.

무도 고추냉이처럼 갈아서 먹기도 한다. 이것은 상당히 효율적인 식습관이며, 옛 선조들이 체험을 통해 터득한 생활의 지혜이다. 그런데 고추냉이에 이어서 발암 억제효과가 강력한 물냉이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물냉이를 많이 먹으면 콩팥 장애를 일으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과잉섭취하지 않도록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브로콜리 데쳐 먹어야 좋아

같은 유채과의 식품이라도 고추냉이는 날것으로, 브로콜리는 살짝 데쳐서 먹는 게 좋다. 무는 날것이나 조려서 먹는 것이 좋다.

각각의 식품에 함유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동족체의 성질을 살리는 방법으로서도 적합한 조리법이다.

고추냉이의 발암 억제성분인 6-MSHI는 강판에 갈면 세포가 파괴되면서 합성되기 때문에 향도 맛도, 그리고 발암 억제력도 약해지므로 막 갈아 내린 것이 가장 좋다.

고추냉이를 보존하는 방법은 신선할 때에 갈아서 한 번 사용할 양만큼만 덜어 랩에 싼 다음 진공팩에 넣어 냉동시키는 것이다. 단 냉동보존은 일주일 정도가 적절하다.

<과잉섭취 주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같은 성분은 보통 식사 때 섭취하는 양 정도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극단적으로 과잉 섭취하거나 농축된 것을 섭취할 경우에는 갑상선종과 방광암을 발생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항암 성분이 오히려 ‘독’이 될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용어 해설>

■ 해독효소
세포 내에서 만들어져 촉매작용을 하는 단백질을 효소라 부르며, 독을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체내에서 중화시키거나 독성이 없는 물질로 바꾸는 것을 해독효소라 한다.

■ 설포라판
퀴논 리덕타제(QR)는 제2상 해독효소의 일종으로 발암 예방효소라 일컬어지는데, 이 효소의 활동을 증강시켜주는 물질이다.

■ 6-MSHI
6-메틸설피닐헥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와사비 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고도 한다.

(자료제공=도서출판 전나무숲)
이전글 오미자에 대하여~
다음글 건강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