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원초등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9월의 절기- 추석
작성자 이재선 등록일 11.09.01 조회수 295
첨부파일

9월의 절기- 추석

팔월 한가위(음력 8월 15일)



  8월 보름날을 한가위, 추석(秋夕) 또는 가배일(嘉俳日)이라 하여 정월 명절과 더불어 제일 큰 명절이다. 이 달에는 추분이 들어있고, 농사일도 거의 끝나고 햅쌀과 햇과일이 나오기 시작한다. 하늘은 높고 날씨는 쾌청하여 예부터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하여라”라는 말이 있다. 이 날엔 햅쌀로 밥도 짓고 송편도 하고, 술도 빚어 신도주라 하여 조상께 수확의 기쁨을 추석 차례로써 알린다. 새 옷 차림으로 차례를 지내고 음복하고, 음식을 이웃과 나누어 먹은 다음 집안 식구가 성묘 간다. 추석날에 남자들은 씨름판에서 힘을 겨루고, 여자들은 널뚜기를 한다. 저녁에는 식구가 평상에 앉아 둥근 달을 보며 담소를 한다. 추석의 차례 음식으로는 정월 차례 때의 떡국대신 햅쌀밥과 편 대신 송편을 놓는다. 주, 과, 포, 탕, 적, 혜, 나물, 침채(김치), 청장을 정해진 귭이 있는 제기에 담고, 위치는 가풍이나 지방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차린다. 8월의 시식으로는 오려송편, 햇과일, 토란탕, 닭찜, 송이산적, 송이찜, 배숙, 화양적, 느르미적, 율란, 조란, 밤초, 대추초 등이 있다.

 

추석에는 이런것들을 먹어요.

송 편 : 가장 먼저 나오는 햅쌀로 빚은 송편은 오려송편이라하여 조상의 차례상과 묘소에 바쳤다.

색에 따라 흰송편, 쑥송편, 송기송편으로 구분하고 소의종류도

팥고물, 밤, 풋콩, 대추, 깨 등여러 가지가 있다.


 토란탕 : 토란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계절이므로 토란탕을 끓이거나 쇠고기를 섞어 맑은 국을 끓여 먹기도 한다.

  화양적 : 햇버섯, 도라지, 고기 등을 조미하여 볶아서 꼬챙이에 꿰어 만든 누름적이다.

 닭  찜 : 햇닭에 살이 올라 한참 맛이 있 는 계절이므로 집에서 키우던 닭을 다른 채소 와 합하여 요리하였다 

  햇  밤 : 햇밤으로 밤밥, 다식, 율란, 밤초 등 여러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추석에는 이런것들을 먹어요.

송 편 : 가장 먼저 나오는 햅쌀로 빚은 송편은 오려송편이라하여 조상의 차례상과 묘소에 바쳤다.

색에 따라 흰송편, 쑥송편, 송기송편으로 구분하고 소의종류도

팥고물, 밤, 풋콩, 대추, 깨 등여러 가지가 있다.


 토란탕 : 토란이 가장 많이 나오는 계절이므로 토란탕을 끓이거나 쇠고기를 섞어 맑은 국을 끓여 먹기도 한다.

  화양적 : 햇버섯, 도라지, 고기 등을 조미하여 볶아서 꼬챙이에 꿰어 만든 누름적이다.

 닭  찜 : 햇닭에 살이 올라 한참 맛이 있 는 계절이므로 집에서 키우던 닭을 다른 채소 와 합하여 요리하였다 

  햇  밤 : 햇밤으로 밤밥, 다식, 율란, 밤초 등 여러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이전글 10월의 전통음식-충청도 향토음식
다음글 7월의 절기-삼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