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원대학교부설미호중학교 로고이미지

RSS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네이버밴드 공유하기 프린트하기
<계기교육> 한식
작성자 김유한 등록일 11.04.05 조회수 262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보통 청명절(淸明節) 당일이나 다음날이다

음력 2월 또는 3월에 들고 양력 4월 5·6일 무렵에 해당된다. 예로부터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이다.

한식이라는 명칭은 이 날만큼은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중국의 옛 풍습에서 나온 것인데, 한식의 기원은 중국 진(晉)나라의 충신 개자추(介子推)의 혼령을 위로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⑴ 중국 진나라의 문공(文公)이 국란을 당하여 개자추 등 여러 신하를 데리고 국외로 탈출하여 방랑할 때, 배가 고파서 거의 죽게 된 문공을 개자추가 자기 넓적다리살을 베어 구워먹여 살린 일이 있었다. 뒤에 왕위에 오른 문공이 개자추의 은덕을 생각하여 높은 벼슬을 시키려 하였으나, 개자추는 그를 마다하고 면산에 숨어(혹은 19년을 섬겼는데 俸祿을 주지 않으므로 숨었다고도 전한다) 아무리 불러도 나오지 않으므로 개자추를 나오게 할 목적으로 면산에 불을 질렀다. 그러나 그는 끝까지 나오지 않고 홀어머니와 함께 버드나무 밑에서 불에 타죽고 말았다. 그 뒤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또 타죽은 사람에게 더운밥을 주는 것은 도의에 어긋난다 하여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⑵ 그러나 고대에 종교적 의미로 매년 봄에 나라에서 새불[新火]을 만들어 쓸 때 이에 앞서 일정 기간 구화(舊火, 옛불)를 일체 금한 풍속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한식날에는 조상의 산소에 성묘(차례)를 가며, 찬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다. 농가에서는 이 날 농작물의 씨를 뿌린다.

한식날 나라에서는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하고, 민간에서는 여러 가지 주과(酒果)를 마련하여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한다. 만일 무덤이 헐었으면 잔디를 다시 입히는데 이것을 개사초(改莎草)라고 한다. 또 묘 둘레에 나무도 심는다. 그러나 한식이 3월에 들면 개사초를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 날 성묘하는 습관은 당(唐)나라 때 중국에서 시작하여 전해진 것으로 신라 때부터 있었던 것 같다.

고려시대에는 한식이 대표적 명절로 숭상되어 관리에게 성묘를 허락하고 죄수의 금형(禁刑)을 실시하였다.

  한식날에는 찬 음식을 먹었다. 그 외 한식날 음식으로는 쑥떡. 쑥단자. 쑥탕이 있다. 우리 조상들은 한식날 진달래꽃 등 봄꽃을 얹어 화전을 해 먹었고, 진달래로 만든 두견주를 담가 마셨다.

속담 : 한식에 죽으나 청명(淸明)에 죽으나 매일반이다.

(한식과 청명이 같은 날이거나 하루 차이이므로 똑같다는 의미로 쓰인다)

이전글 마음가짐
다음글 <계기교육> 식목일